제22대 총선을 37일 앞둔 시점에 여(與)·야(野) 양당의 총성 없는 공천전쟁이 막바지에 치닫고 있어 관심과 주목을 끌고 있다. 국민의힘은 시스템 공천(公薦)을 통해 잡음 없는 공천을 하고 있다고 자평하고 있는 데 반해, 이재명 대표의 더불어민주당은 공천 내홍이 점입가경(漸入佳境)으로 치닫고 있다.이재명 대표를 향한 사천(私薦) 논란이 그 중심에 있다.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 명단에 대거 포함된 비명계 의원들은 이재명 대표의 사천(私薦), 저격공천(狙擊公薦)이라며 당 대표를 향한 성토(聲討)를 쏟아내고 있다. 당의 평가시스템 불공정성을 지적하면서 탈당(脫黨)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더불어 김부겸, 정세균 등 전직 국무총리들까지 나서서 이재명 대표의 공천과정에 대해 "시스템 공천, 민주적 원칙과 객관성이 훼손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천(私薦) 논란의 파열음(破裂音)은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을 흔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대표의 총선 불출마, 2선 후퇴 주장까지 나오는 등 민주당의 내홍(內訌)은 심각한 위기상황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민주당의 총선 승리는 따놓은 당상(堂上)이라는 판세분석이 무색해지리만큼 민주당은 혼돈(混沌)을 거듭하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이 난관(難關)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좀 더 두고봐야 할 관전 포인트이다.민주당과 달리 국민의힘은 공천잡음(雜音)은 적어 보인다. 그러나 국민의힘 역시 민의(民意)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나? 의문(疑問)이 들기는 마찬가지다.특히 지금까지 전국 지역구에서 탈락한 현역 의원이 극소수에 그쳐 ‘현역 횡재’, ‘신인 횡사’라는 비판(批判)을 낳고 있다. 인적 쇄신(刷新) 없이 기득권에 안주(安住)하는 모습으로 비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장제원 의원을 제외하면 ‘尹핵관’ 대부분이 공천을 보장받았고, 지역구 현역 교체율도 역대 최저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현역 의원을 교체해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이 넘는다. 물갈이 여론이 이렇게 강한데도 쇄신(刷新)도 없고 감동(感動)도 없는 공천을 고집하는 것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 알고계시는 바와 같이 총선(總選)에서 정당 공천제도가 도입된 건 70년 전이다. 1954년 3대 총선 당시 자유당은 대의원 투표, 시도당 평가, 중앙당 심사를 종합한 최고득점자를 공천하려고 했다. 당 총재인 이승만 대통령 재가(裁可) 과정에서 공천자가 뒤바뀌었고, ‘원조 상향식’ 공천은 뜻대로 되지않고 흐지부지됐다.요즘 정당은 ‘시스템 공천’이라고 부른다. 이에 따르면, 먼저 부적격 기준을 내놓는다. 성범죄, 음주운전, 직장 갑질, 학교폭력 이력이 있으면 신청조차 말라는 것이다. 그 후 당이 추구하는 이념(理念)·가치(價値)에 부합하는지, 이를 구현할 능력이 있는지를 검토한다.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가 혼합된다. 정당마다 공정한 기준과 민주적 절차를 강조하지만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다. 공천은 특정 계파의 세력 확대 수단으로 활용되기 일쑤였고, 그래서 매번 ‘내전(內戰)’을 겪었다.농사로 치면, 공천은 씨를 뿌리는 단계다. 유권자들은 공천상황을 주시하며 투표할 정당과 후보를 준비한다. 특히 공천 파동을 겪은 정당은 국민의 준엄(峻嚴)한 심판을 받았다.진박(진짜 박근혜) 감별사(鑑別師)들이 활개친 2016년 새누리당 공천이 그랬다.공천은 시끄러울 수밖에 없지만 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당내 계파별·직능별·출신별·세대별로 균형을 맞춰야 한다. 특히 국민 시선을 잡아챌 깜짝 이벤트(event)나 스타(star)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혁신(革新)과 변화(變化)를 두려워하는 기득권 정치 역시 국민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한다는 점을 분명히 명심해야 한다. 4·10 총선유권자들은 누가 더 국민을 위하고, 대한민국을 잘 이끌어 나갈 참일꾼을 공천하는지 지켜보고 있음을 여·야가 잘 헤아려주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전화] 070-7198-8884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