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평일과 주말에도 일했습니다. 근무한 시간에 대한 보상만큼 받고 싶습니다. 민사소송만이 답일까요. #회사가 인수합병되면서 사장이 체불 수당을 줄 수 없다고 통보했습니다. 체불 수당 미지급 동의서에 서명하라고 강요하는데 수당을 받을 방법이 없을까요.직장인 10명 중 5명(43.7%)이 임금체불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직장인의 66%가 한국 사회 임금체불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직장갑질119와 아름다운재단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9월1일부터 6일까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4일 밝혔다.직장갑질119에 따르면 직장인 1000명 중 437명(43.7%)이 임금 체불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임금체불 경험 여부는 근무 환경에 따라 달랐다. 비정규직(49%)과 생산직(51.5%)은 정규직(40.2%), 사무직(39.8%)보다 10%가량 더 높게 임금체불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체불된 임금 종류는 △기본급(30.2%) △퇴직금(28.1%) △연장·야간·휴일근무수당(27.8%) △기타 수당(24.5%) △연차수당(23.2%) 순이었다.임금체불을 경험한 직장인 중 대다수가 `회사를 그만두거나`(22.4%) `모르는 척`(19%)하며 대응을 포기했다.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회사에 `지급을 요청`했고 고용노동부와 국민권익위 등 `관련 기관에 신고했다`는 응답은 24.3%였다.임금체불에 대응하지 않은 직장인 170명에게 이유를 물어본 결과 "대응해도 체불된 임금을 받지 못할 것 같아서"가 43.5%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향후 인사 등에 불이익당할 것 같아서", "시간이 없어서" 등의 답변이 있었다. 특히 시간이 없어 대응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비정규직(16.9%)이 정규직(2.2%)보다 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임금체불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응답자 66%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발생 이유에 대해 응답자 69.6%는 `임금체불 사업주가 제대로 처벌되지 않아서`라고 설명했다.아울러 문제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제도로 △반의사불벌죄 폐지(26.7%) △3년에서 5년으로 임금채권 소멸시효 연장(18.9%) △체불임금 지연이자제 모든 임금체불 적용(14.2%) 등이 꼽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직장인 44% “월급 제때 못 받았다”..
뉴스

직장인 44% “월급 제때 못 받았다”

안종규 기자 ajk22@ksmnews.co.kr 입력 2023/09/24 21:44
직장갑질119, 임금체불 관련 설문…대다수 퇴사 등 대응 포기

[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평일과 주말에도 일했습니다. 근무한 시간에 대한 보상만큼 받고 싶습니다. 민사소송만이 답일까요.


#회사가 인수합병되면서 사장이 체불 수당을 줄 수 없다고 통보했습니다. 체불 수당 미지급 동의서에 서명하라고 강요하는데 수당을 받을 방법이 없을까요.

직장인 10명 중 5명(43.7%)이 임금체불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직장인의 66%가 한국 사회 임금체불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직장갑질119와 아름다운재단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9월1일부터 6일까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4일 밝혔다.

직장갑질119에 따르면 직장인 1000명 중 437명(43.7%)이 임금 체불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체불 경험 여부는 근무 환경에 따라 달랐다. 비정규직(49%)과 생산직(51.5%)은 정규직(40.2%), 사무직(39.8%)보다 10%가량 더 높게 임금체불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체불된 임금 종류는 △기본급(30.2%) △퇴직금(28.1%) △연장·야간·휴일근무수당(27.8%) △기타 수당(24.5%) △연차수당(23.2%) 순이었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직장인 중 대다수가 '회사를 그만두거나'(22.4%) '모르는 척'(19%)하며 대응을 포기했다.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회사에 '지급을 요청'했고 고용노동부와 국민권익위 등 '관련 기관에 신고했다'는 응답은 24.3%였다.

임금체불에 대응하지 않은 직장인 170명에게 이유를 물어본 결과 "대응해도 체불된 임금을 받지 못할 것 같아서"가 43.5%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향후 인사 등에 불이익당할 것 같아서", "시간이 없어서" 등의 답변이 있었다. 특히 시간이 없어 대응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비정규직(16.9%)이 정규직(2.2%)보다 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임금체불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응답자 66%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발생 이유에 대해 응답자 69.6%는 '임금체불 사업주가 제대로 처벌되지 않아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문제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제도로 △반의사불벌죄 폐지(26.7%) △3년에서 5년으로 임금채권 소멸시효 연장(18.9%) △체불임금 지연이자제 모든 임금체불 적용(14.2%) 등이 꼽혔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