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상수기자]경북도와 지역자활센터가 `경북형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이 사업은 커피박에 유용미생물을 섞어 축사 바닥재로 사용해 악취를 저감시키는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지역자활센터가 커피박의 수거·배송을 담담하게 된다.경북도는 29일 지역 지역자활센터 3곳(포항나눔·경주·영천)에 친환경 커피박 수거 차(1억4300만원 상당) 3대를 전달했다. 경북형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은 지난해 7월 전국 최초로 영천 지역자활센터에서 시범사업으로 시작됐다.올해는 경북도가 자활기금사업으로 이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포항나눔, 경주, 영천 등 3개 지역자활센터는 도내 커피매장(410곳)에서 수거한 월 평균 83t(연간 1000t 예상)의 커피박을 축사 11곳과 퇴비공장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도는 내년에 자활기금 1억원을 투입해 커피박의 대량 집하를 위한 재자원화센터(집하장)를 확보하고 수거 차 3대를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이를 통해 지역에서 연간 발생하는 커피박 1.5만~2만t 중 10%인 1500t 이상을 수거해 축사 바닥재로 재자원화할 수 있을 것으로 도는 예상하고 있다.   커피박은 기존 축사 바닥재와 비교해 최대 95%의 악취를 줄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경북보건환경연구원과 경북대 분자미생물학 연구팀은 유용미생물을 커피박에 섞어 축사 바닥재로 사용해 악취를 저감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지역자활센터는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에게 자활사업을 통한 일자리 제공과 직업교육, 취업상담 등 체계적인 자활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로 경북에는 광역자활센터 1곳, 지역자활센터 20곳이 운영되고 있다.이철우 도지사는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은 축사악취 저감이라는 고질적인 민원을 해결하고 취약계층의 자활에도 도움을 준다. 전국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경북형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 추진 본격화..
뉴스

‘경북형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 추진 본격화

안상수 기자 gsm333@hanmail.net 입력 2022/09/29 21:30
축사 악취 저감 기술에 활용

[경상매일신문=안상수기자]경북도와 지역자활센터가 '경북형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이 사업은 커피박에 유용미생물을 섞어 축사 바닥재로 사용해 악취를 저감시키는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지역자활센터가 커피박의 수거·배송을 담담하게 된다.

경북도는 29일 지역 지역자활센터 3곳(포항나눔·경주·영천)에 친환경 커피박 수거 차(1억4300만원 상당) 3대를 전달했다.

경북형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은 지난해 7월 전국 최초로 영천 지역자활센터에서 시범사업으로 시작됐다.

올해는 경북도가 자활기금사업으로 이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포항나눔, 경주, 영천 등 3개 지역자활센터는 도내 커피매장(410곳)에서 수거한 월 평균 83t(연간 1000t 예상)의 커피박을 축사 11곳과 퇴비공장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도는 내년에 자활기금 1억원을 투입해 커피박의 대량 집하를 위한 재자원화센터(집하장)를 확보하고 수거 차 3대를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에서 연간 발생하는 커피박 1.5만~2만t 중 10%인 1500t 이상을 수거해 축사 바닥재로 재자원화할 수 있을 것으로 도는 예상하고 있다.

 

커피박은 기존 축사 바닥재와 비교해 최대 95%의 악취를 줄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경북보건환경연구원과 경북대 분자미생물학 연구팀은 유용미생물을 커피박에 섞어 축사 바닥재로 사용해 악취를 저감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지역자활센터는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에게 자활사업을 통한 일자리 제공과 직업교육, 취업상담 등 체계적인 자활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로 경북에는 광역자활센터 1곳, 지역자활센터 20곳이 운영되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은 축사악취 저감이라는 고질적인 민원을 해결하고 취약계층의 자활에도 도움을 준다. 전국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