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조영삼기자]울릉도를 탄소 Zero, 청정에너지 섬으로 조성하기 위한 첫 삽을 떴다.경북도는 22일 울릉군 공설운동장에서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조성사업’ 착공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김학홍 창조경제산업실장, 정양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최수일 울릉군수, 김시호 한국전력 부사장, LG CNS 부사장, 관련 참여기업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이날 착공식이 열린 울릉군 공설운동장은 1단계 사업의 태양광발전시설 구축 장소다. 태양광 발전시설(1MW)은 공설운동장 등 공공기관 건축물 및 저동지역 해안도로 등에 설치될 예정이다.‘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은 세계 최초 탄소 Zero 섬을 만들기 위해 야심차게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사업은 2020년까지 6년간 총 사업비 3천902억 원이 투입된다. 1단계 사업은 2017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위해 디젤발전을 축소하고 수력, 풍력, 태양광, ESS 설치를 통한 연계시스템을 구축한다. 2단계 사업으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울릉도의 우수한 지열자원을 활용한 지열발전, 연료전지, ESS 설비 추가 등을 진행해 디젤발전 Zero화에 도전한다. 아울러 전기차와 전기어선 등을 보급함으로써 경제성과 현실성, 주민수용성을 고려한 세계 최초의 100% 탄소 ZERO 친환경 에너지자립섬을 구축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경북도는 내년에 ‘울릉도친환경에너지자립섬’ 후속사업 일환으로 ‘디자인울릉 연구용역’을 실시해 에너지 관광 프로젝트를 발굴에 나선다.태하 지열온천타운, 저동 신재생 마이크로 견학 단지, 나리분지 글램핑장, 풍력 바람의 언덕 트레이킹 코스 조성 등 지역여건 등을 고려한 친환경에너지이미지를 부각시켜 국내외 에너지 관광객을 유치한다는 복안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道, 울릉도 ‘탄소 Zero’ 청정에너지 섬으로..
뉴스

道, 울릉도 ‘탄소 Zero’ 청정에너지 섬으로

노재현 기자 njh2000v@hanmail.net 입력 2015/10/23 08:07
에너지자립섬 착공식

ⓒ 경상매일신문
[경상매일신문=노재현·조영삼기자]
울릉도를 탄소 Zero, 청정에너지 섬으로 조성하기 위한 첫 삽을 떴다.
경북도는 22일 울릉군 공설운동장에서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조성사업’ 착공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김학홍 창조경제산업실장, 정양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최수일 울릉군수, 김시호 한국전력 부사장, LG CNS 부사장, 관련 참여기업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착공식이 열린 울릉군 공설운동장은 1단계 사업의 태양광발전시설 구축 장소다.
태양광 발전시설(1MW)은 공설운동장 등 공공기관 건축물 및 저동지역 해안도로 등에 설치될 예정이다.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은 세계 최초 탄소 Zero 섬을 만들기 위해 야심차게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사업은 2020년까지 6년간 총 사업비 3천902억 원이 투입된다.
1단계 사업은 2017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위해 디젤발전을 축소하고 수력, 풍력, 태양광, ESS 설치를 통한 연계시스템을 구축한다.
2단계 사업으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울릉도의 우수한 지열자원을 활용한 지열발전, 연료전지, ESS 설비 추가 등을 진행해 디젤발전 Zero화에 도전한다.
아울러 전기차와 전기어선 등을 보급함으로써 경제성과 현실성, 주민수용성을 고려한 세계 최초의 100% 탄소 ZERO 친환경 에너지자립섬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북도는 내년에 ‘울릉도친환경에너지자립섬’ 후속사업 일환으로 ‘디자인울릉 연구용역’을 실시해 에너지 관광 프로젝트를 발굴에 나선다.
태하 지열온천타운, 저동 신재생 마이크로 견학 단지, 나리분지 글램핑장, 풍력 바람의 언덕 트레이킹 코스 조성 등 지역여건 등을 고려한 친환경에너지이미지를 부각시켜 국내외 에너지 관광객을 유치한다는 복안이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