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경북교육청은 지난 14일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경북도의회에 제출했다.이번 추가경정예산 규모는 올해 본예산 5조9229억원 대비 2365억원(4.0%) 증가한 6조1594억원이다. 세입 예산은 보통교부금과 특별교부금 등을 포함한 중앙정부 이전수입 1098억원과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907억원 기타 이전수입 12억원 자체수입 484억원 전년도 이월금 △136억원이다.이번 추가경정예산의 편성 방향은 본예산 편성 이후 교부된 국가 시책사업을 반영하고 미래교육 변화에 대비하는 교육환경 구축에 중점을 뒀으며 특히 연도 내 집행 가능한 사업을 편성해 이·불용액을 최소화하는 등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했다.주요 사업으로는 △공공요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인한 학교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기요금은 인상률 25%를 반영한 121억원 가스요금은 인상률 30%를 반영한 16억원을 편성했다.또한 △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과 학교 안전망 구축을 위해 생활관 증축 36억원, 급식소와 다목적강당 증·개축 69억원 그린스마트스쿨 63억원 내진보강 250억원 등 학교시설 확충과 환경개선에 1523억원을 편성했다.△급식 종사자 안전과 건강 보호를 위해 급식소 환기설비 개선 163억원 작업환경 개선 8억원 산업안전 보건교육 2억원 등을 편성했다.△적정한 학생 배치를 위해 교사 이전 10억원 교실 증축 132억원 신설학교 신축경비 3억원 등 학생배치시설에 145억원을 편성했다.△미래교육 기반 구축을 위해 영천도서관 27억원 미래직업교육관 7억원 융합진로체험교육관 2억원 인공지능(AI)교육센터 1억원 등 각종 기관 건립과 이전에 48억원을 편성했다.임종식 교육감은 “이번 추가경정예산은 학교 현장지원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을 우선 반영했으며, 미래교육 변화에 대비하는 교육기반 마련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한편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오는 25일부터 열리는 제339회 경북도의회 임시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경북교육청, 제1회 추가경정예산 2365억 증액 편성..
뉴스

경북교육청, 제1회 추가경정예산 2365억 증액 편성

김용묵 기자 kimym3398@ksmnews.co.kr 입력 2023/04/16 21:30
4.0% 증가 6조1594억원
미래교육 대비 기반 구축 중점
임시회의 심의·의결 최종 확정

[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경북교육청은 지난 14일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경북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가경정예산 규모는 올해 본예산 5조9229억원 대비 2365억원(4.0%) 증가한 6조1594억원이다.

세입 예산은 보통교부금과 특별교부금 등을 포함한 중앙정부 이전수입 1098억원과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907억원 기타 이전수입 12억원 자체수입 484억원 전년도 이월금 △136억원이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의 편성 방향은 본예산 편성 이후 교부된 국가 시책사업을 반영하고 미래교육 변화에 대비하는 교육환경 구축에 중점을 뒀으며 특히 연도 내 집행 가능한 사업을 편성해 이·불용액을 최소화하는 등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공공요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인한 학교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기요금은 인상률 25%를 반영한 121억원 가스요금은 인상률 30%를 반영한 16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과 학교 안전망 구축을 위해 생활관 증축 36억원, 급식소와 다목적강당 증·개축 69억원 그린스마트스쿨 63억원 내진보강 250억원 등 학교시설 확충과 환경개선에 1523억원을 편성했다.
△급식 종사자 안전과 건강 보호를 위해 급식소 환기설비 개선 163억원 작업환경 개선 8억원 산업안전 보건교육 2억원 등을 편성했다.
△적정한 학생 배치를 위해 교사 이전 10억원 교실 증축 132억원 신설학교 신축경비 3억원 등 학생배치시설에 145억원을 편성했다.
△미래교육 기반 구축을 위해 영천도서관 27억원 미래직업교육관 7억원 융합진로체험교육관 2억원 인공지능(AI)교육센터 1억원 등 각종 기관 건립과 이전에 48억원을 편성했다.
임종식 교육감은 “이번 추가경정예산은 학교 현장지원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을 우선 반영했으며, 미래교육 변화에 대비하는 교육기반 마련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한편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은 오는 25일부터 열리는 제339회 경북도의회 임시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