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립교향악단(이하 대구시향)은 오는 7월 3일 오후 7시 30분 대구시민회관에서 핀란드의 국민 작곡가 얀 시벨리우스의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는 제416회 정기연주회를 연다. 부산시립교향악단 수석지휘자로 활동 중인 리 신차오가 이끄는 이번 무대는 얀 시벨리우스의 교향시 ‘핀란디아’와 ‘교향곡 제2번’을 선보인다. 특히 이날 해외 언론에서 극찬을 받고 있는 첼리스트 김민지가 엘가의 ‘첼로 협주곡’을 연주한다. 이날 지휘를 맡은 마에스트로 리 신차오는 중국국립교향악단 수석상임지휘자 및 중국 국립음악원 교수로 활동 중이며 지난 2009년 6월부터는 부산시립교향악단 수석지휘자로 취임했다. 그는 중국 중앙음악대학교와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악원을 졸업하고 중국인 최초로 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빈 심포니의 지휘봉을 잡았던 젊은 지휘자다. 그동안 빈 심포니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그가 드디어 대구시향의 지휘단에 오른다. 리 신차오의 지휘로 연주될 첫 곡은 시벨리우스의 교향시 ‘핀란디아’다. 러시아 지배를 받던 핀란드는 지난 1899년 언론인들에 의해 민족적 역사극 ‘역사적 정경’의 상연을 계획, 이 작품에 사용된 극음악들 중 마지막 곡이 교향시 ‘핀란디아’의 시초가 됐다. 이후 1900년 7월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핀란드의 명지휘자 카야누스,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이 곡을 초연해 성공을 거뒀다. 특히 이 곡의 중반부에 등장하는 호소력 짙은 선율에는 핀란드 시인 코스켄니에미의 시를 붙여 ‘핀란디아 찬가’라는 합창곡으로도 만들어졌는데, 오늘날 핀란드에서는 제2의 국가처럼 애창된다. 이어 첼리스트 김민지의 연주로 영국의 대표 작곡가 엘가의 ‘첼로 협주곡 E 단조, Op.85’를 감상한다. 김민지는 만 16세에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영재로 입학, 졸업과 동시에 도미해 뉴 잉글랜드 콘서바토리에서 석사, 전문 연주자 과정,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했다. 지난 2005년 프랭크 헌팅턴 비비 장학금 수여자로 선정돼 프랑스 툴루즈 콘서바토리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는 것은 물론 2003년 미국 아스트랄 아티스트 내셔널 오디션에서 우승함으로써 미국 데뷔 무대를 가졌다. 현재는 계명대학교 관현악과 교수로 재직하며 금호 체임버 뮤직 소사이어티, 금호 아시아나 솔로이스츠, 첼리스타 첼로 앙상블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의 연주로 감상할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작곡자의 전성기 때 쓴 마지막 작품으로 독특한 구성에 바탕을 두고 간결하게 작곡됐다. 총 4악장 구성이지만 제1ㆍ2악장을 연속적으로 연주해 크게 3악장으로도 볼 수 있다. 곡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레치타티보는 전곡에 걸쳐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며 제3악장의 주제가 제4악장에서도 교묘히 취급되고 있다는 점 등은 곡의 구성 면에서 뛰어난 독창성을 보여준다. 끝으로 공연 후반부에는 시벨리우스의 교향곡 중 가장 인기 높은 ‘교향곡 제2번 D 장조, Op.43’을 연주한다. 이 곡은 시벨리우스의 ‘전원’ 교향곡이라고도 불리며 또 한 번 큰 성공을 거둬 그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제1악장은 현이 연주하는 스타카토의 상행 리듬을 타고 긴장감 속에 서늘한 핀란드의 정경이 나타난다. 제2악장에서는 핀란드의 어둡고 침침한 숲과 신비로운 호수의 정경이 펼쳐지고, 바순과 현이 시벨리우스 특유의 선율로 백야의 나라 핀란드의 눈 오는 풍경을 그리고 있다. 제3악장은 휘몰아치는 눈보라를 거친 금관악기의 울부짖음으로 표현하고, 오보에의 느린 선율은 이와 대조를 이룬다. 힘찬 리듬의 제4악장은 절정으로 치닫고 마지막에 승리에 찬 코다로 곡을 마친다. 한편 이번 연주회는 일반 A석 1만 6천원, B석 1만원이다. 문의 : 053)250-1475.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얀 시벨리우스의 삶과 음악을 만나다”..
뉴스

“얀 시벨리우스의 삶과 음악을 만나다”

/최보아 기자 입력 2015/06/25 19:10
시벨리우스 탄생 150주년 기념… 대구시향, 내달 3일 정기연주회

ⓒ 경상매일신문

대구시립교향악단(이하 대구시향)은 오는 7월 3일 오후 7시 30분 대구시민회관에서 핀란드의 국민 작곡가 얀 시벨리우스의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는 제416회 정기연주회를 연다.
부산시립교향악단 수석지휘자로 활동 중인 리 신차오가 이끄는 이번 무대는 얀 시벨리우스의 교향시 ‘핀란디아’와 ‘교향곡 제2번’을 선보인다.
특히 이날 해외 언론에서 극찬을 받고 있는 첼리스트 김민지가 엘가의 ‘첼로 협주곡’을 연주한다.
이날 지휘를 맡은 마에스트로 리 신차오는 중국국립교향악단 수석상임지휘자 및 중국 국립음악원 교수로 활동 중이며 지난 2009년 6월부터는 부산시립교향악단 수석지휘자로 취임했다.
그는 중국 중앙음악대학교와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악원을 졸업하고 중국인 최초로 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빈 심포니의 지휘봉을 잡았던 젊은 지휘자다.
그동안 빈 심포니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그가 드디어 대구시향의 지휘단에 오른다.
리 신차오의 지휘로 연주될 첫 곡은 시벨리우스의 교향시 ‘핀란디아’다.
러시아 지배를 받던 핀란드는 지난 1899년 언론인들에 의해 민족적 역사극 ‘역사적 정경’의 상연을 계획, 이 작품에 사용된 극음악들 중 마지막 곡이 교향시 ‘핀란디아’의 시초가 됐다.
이후 1900년 7월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핀란드의 명지휘자 카야누스,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이 곡을 초연해 성공을 거뒀다.
특히 이 곡의 중반부에 등장하는 호소력 짙은 선율에는 핀란드 시인 코스켄니에미의 시를 붙여 ‘핀란디아 찬가’라는 합창곡으로도 만들어졌는데, 오늘날 핀란드에서는 제2의 국가처럼 애창된다.
이어 첼리스트 김민지의 연주로 영국의 대표 작곡가 엘가의 ‘첼로 협주곡 E 단조, Op.85’를 감상한다.
김민지는 만 16세에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영재로 입학, 졸업과 동시에 도미해 뉴 잉글랜드 콘서바토리에서 석사, 전문 연주자 과정,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했다.
지난 2005년 프랭크 헌팅턴 비비 장학금 수여자로 선정돼 프랑스 툴루즈 콘서바토리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는 것은 물론 2003년 미국 아스트랄 아티스트 내셔널 오디션에서 우승함으로써 미국 데뷔 무대를 가졌다.
현재는 계명대학교 관현악과 교수로 재직하며 금호 체임버 뮤직 소사이어티, 금호 아시아나 솔로이스츠, 첼리스타 첼로 앙상블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의 연주로 감상할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작곡자의 전성기 때 쓴 마지막 작품으로 독특한 구성에 바탕을 두고 간결하게 작곡됐다.
총 4악장 구성이지만 제1ㆍ2악장을 연속적으로 연주해 크게 3악장으로도 볼 수 있다.
곡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레치타티보는 전곡에 걸쳐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며 제3악장의 주제가 제4악장에서도 교묘히 취급되고 있다는 점 등은 곡의 구성 면에서 뛰어난 독창성을 보여준다.
끝으로 공연 후반부에는 시벨리우스의 교향곡 중 가장 인기 높은 ‘교향곡 제2번 D 장조, Op.43’을 연주한다.
이 곡은 시벨리우스의 ‘전원’ 교향곡이라고도 불리며 또 한 번 큰 성공을 거둬 그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제1악장은 현이 연주하는 스타카토의 상행 리듬을 타고 긴장감 속에 서늘한 핀란드의 정경이 나타난다.
제2악장에서는 핀란드의 어둡고 침침한 숲과 신비로운 호수의 정경이 펼쳐지고, 바순과 현이 시벨리우스 특유의 선율로 백야의 나라 핀란드의 눈 오는 풍경을 그리고 있다.
제3악장은 휘몰아치는 눈보라를 거친 금관악기의 울부짖음으로 표현하고, 오보에의 느린 선율은 이와 대조를 이룬다.
힘찬 리듬의 제4악장은 절정으로 치닫고 마지막에 승리에 찬 코다로 곡을 마친다.
한편 이번 연주회는 일반 A석 1만 6천원, B석 1만원이다. 문의 : 053)250-1475.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