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가 당면한 최대의 이슈는 ‘부정선거’일 것이다. 경제, 안보, 국방, 외교보다도 더 우선적인 이슈지만 한국의 주류 사회와 정치권이 이를 외면하고 지식인과 언론조차 다루기를 주저하고 있다.    ‘부정선거’ 이슈는 현재 한국 사회를 분열시키는 최대의 요인이다. 그러므로 한국 사회를 통합하고자 하는 진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여기에 관심을 갖고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기도해야 할 것이다.   ‘부정선거’에 관하여 몇 가지 입장이 있다. 첫째는 ‘부정선거’라는 말 자체를 극히 혐오하는 입장이다. ‘부정선거’를 입에 올리는 사람은 미친 놈이니 상대도 하면 안 된다고 말한다. 둘째는 지난 대선에 심대한 ‘부정선거’가 자행되었으니 대선은 무효라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셋째는 역사적으로 대통령 선거가 완전무결하게 치루어진 경우가 어디 있었느냐, 6.3대선 때도 ‘부정선거’가 있었겠지만 대선을 무효라고 할만큼 심각한 것은 아니라고 보는 입장이다.   각각의 입장에 따라 ‘부정선거’ 이슈를 해결하는 방법도 다르다. 여기에도 대략 3가지 견해가 있는 것 같다. 첫째, ‘부정선거’ 운운하는 인간들을 대한민국 국민권을 박탈하는 방법, 둘째, 선거 때마다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이번의 것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일종의 통과의례로 생각하고 뭉개고 넘어가는 방법, 셋째, ‘부정선거’가 과연 있었는지, 있었다면 얼마나 있었는지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승복하기로 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선거로 인하여 분열이 심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를 치유하고 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무엇을 선택하면 좋을까? 첫째의 방법은 분열을 더욱 심화시킬 뿐 통합과는 거리가 먼 입장이다. 자기의 견해와 매우 달라서 정치적 이슈마다 대립하더라도 가능한 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하나가 되는 길을 찾아가야 할 터인데 상대를 깡그리 부정하고서야 무슨 좋은 결과가 있겠는가?    둘째의 방법은 현재 정치 기득권자라 할 수 있는 민주당 진영과 국힘당 주류의 생각일 터인데, 따라서 아마 이것이 앞으로도 대세가 될 가능성이 크지만, 이번 6.3대선은 예년과는 달리 ‘부정선거’의 증거들이 워낙 많이 쏟아져 나왔기에, 이 방법을 계속 유지한다면 한국 사회의 통합은 요원(遙遠)한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분열을 치유하고 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셋째의 입장에 의견을 모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혹자는 쓸데없는 일이라고 하겠지만 비록 쓸데없는 일이 될지라도 한번 제대로 검증하는 것이 안 하는 것보다 훨씬 더 유익할 것이다. 검증을 통해서 6.3대선은 유효한 선거였음이 입증되어야 민주당 정권의 정통성이 보장된다. 그렇지 않으면 정통성 없는 사기(詐欺) 정권으로 의심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어제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6.3대선국제감시단의 보고가 있었는데, 그 결론은 ‘6.3대선은 중공이 간여한 부정선거’라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백악관과 국무부를 비롯하여 전 세계 선진국에 널리 알려질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우리 정부와 정치권과 언론만 입을 꾹 다물고 있으면 그냥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공정한 검증을 하지 않고 그냥 뭉개고 넘어가면 미국, 일본, 유럽을 비롯한 민주주의 진영에서 우리나라 정부를 부정선거로 세워진 사기 정부로 인식하게 될 것이고, 그러면 현 정권은 이미 G7써밋에서 본 것처럼, 국제사회에서 제자리를 찾지 못할 것이다. 그 결과 안보, 국방, 경제, 통상, 금융, 문화 등 전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공신력과 영향력은 심대한 하락을 면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