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국민의힘이 이재명 정부의 첫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두고 주말까지 사흘째 공세를 이어갔다. 특히 야당 시절 전액 삭감했던 대통령실 특수활동비(약 41억원)를 부활시키면서도, 국방 예산을 900억원 넘게 삭감한 점을 문제 삼으며 대통령의 직접 사과를 요구했다. 박성훈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재명 정부가 전 국민 현금 살포 재원 마련을 위해 국방 예산 905억 원을 잘라냈다"며 "이 대통령의 `평화가 경제`라는 말은 결국 국방 예산을 빼서 현금을 살포하겠다는 것이냐"라고 비판했다.국민의힘에 따르면 지난 4일 국회를 통과한 2차 추경에서 △안보폰 통신 요금 등 전력 운영 부문 3개 사업에서 27억6200만원 △일반전초(GOP) 과학화 경계시스템 성능 개량(300억원) △120㎜ 자주 박격포(200억원) △특수작전용 권총(136억7000만원) △이동형 장거리 레이더(119억6200만원) 등 방위력 개선 부문 7개 사업에서 877억6100만원 등 총 905억2300만원이 삭감됐다.박 원내대변인은 "정말 재원이 필요했다면, 민주당이 필요 없다던 대통령실의 특활비 부활부터 철회하는 것이 순리였지만 이 정부는 국방 전력 강화 예산에 손을 댔다"며 "이 정도면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인 안보를 사실상 포기한 것과 다름없다"고 강조했다.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세계 동맹국을 대상으로 국내총생산(GDP) 5% 국방비 증액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이런 조치는 잘못된 시그널을 미국 행정부에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 삭감을 넘어서 우려가 있는 사항"이라고 했다.박 원내대변인은 "예결소위 과정에서도 국민의힘 의원들은 (국방 예산 삭감과 관련해) 전혀 통지받지 못했고, 국방위 전체회의에서도 본예산 삭감 관련 어떠한 설명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7일 국방위 차원의 규탄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나경원 의원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의 추경안 단독 처리에 대해 "입으로는 협치를 말하면서 손으로는 독주를 밀어붙이는 이중 플레이의 극치"라고 비판했다.나 의원은 "생색내기 현금살포를 위해 안보예산을 삭감한 것"이라며 "(반면) 대통령실 특수활동비는 41억 원 증액되어 포함됐다"며 "국민을 지킬 국방예산을 줄이고, 권력의 호위 예산은 늘린 셈"이라고 질타했다. 윤상현 의원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그는 "(야당 시절) 전액 삭감했던 대통령실 특활비를 정권을 잡자마자 말을 바꾸고 부활시켰다"며 "사과해야 할 사람은 우상호 정무수석이 아니라 (당시 민주당 대표로) `특활비를 삭감했다고 나라 살림 못 하겠다는 건 당황스럽다`고 했던 이 대통령 본인"이라고 직격했다.또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특활비 부활은 정말 황당하다"며 "대통령이 직접 국민에게 소상히 설명하고 사과하는 게 정치의 첫걸음"이라고 밝혔다. 윤 의원은 "대통령 `굿캅` 민주당 `배드캅`을 맡아 사전에 역할을 짜맞추듯, 대통령은 대화와 소통과 협치를 말로만 말하고 민주당은 수적인 우세를 바탕으로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며 "협치의 탈을 쓴 정치테러"라고 맹비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