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숙원사업이자 시민 생존권과 직결된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됐다. 민선8기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김장호 구미시장과 격한 갈등까지 빚어가며 야심차게 추진했던 `맑은 물 하이웨이 정책(안동댐 취수원 이전)`은 결국 수장 이탈로 좌초됐고, 환경부 역시 기존 안동댐 취수 방안을 포함한 전면 재검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구미시 역시 해평취수장을 제외한 새로운 대안, 구미보 상류 수역을 내부적으로 정리하며 협상 테이블 재구성에 대비하고 있다.이 문제는 단순한 상수도 행정이 아니다. 1991년 구미 페놀 유출 사태 이후 30년 넘게 이어져온 대구시민의 식수 불안 해소와 직결된 중대한 과제다. 그동안 구미 해평취수장, 안동댐 직하류 등 여러 대안이 오갔지만 지자체 간 갈등, 사업비 부담, 기술적 난제들이 겹치면서 해결을 보지 못했다. 해평은 취수량 부족과 수질 논란, 안동댐은 과도한 건설비와 110km에 달하는 도수관로 등으로 부담이 컸다. 안동댐 취수와 관련해서도 안동시와 의회 간 갈등, 의성과 상주 등 하류 농민들의 수량 부족 반발 등 예산 문제 이외에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하나둘이 아니었다. 그런 가운데 구미시가 제시한 ‘구미보 상류 수역’은 대구·구미 간 접점이 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55km의 관로 거리, 1일 취수 가능량 최대 60만톤, 해평보다 낮은 오염 가능성, 안동보다 적은 사업비(약 1조800억원) 등 기존의 양방향 방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무엇보다 김천공단과 관련된 감천 합류부 하류를 피할 수 있어 대구시민의 수질 우려도 한층 덜 수 있다.이 안은 바로 김장호 구미시장이 홍준표 대구시장에게 과거 제시한 안과 유사하다. 이러한 제안에 홍 시장이 반발하면서 ‘맑은 물 하이웨이 정책’이 추진됐다. 아니 어쩌면 맑은 물 하이웨이 정책을 구상해 두고 명분을 찾고자 김장호 시장을 희생양 삼은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역시 피해를 우려하는 의성·상주 등 인근 지자체의 반발이 예상되며, 갈등 해결 없이는 진척되기 어렵다. 결국 해법은 중앙정부의 책임 있는 중재와 결단에 있다. 30년을 끌어온 이 문제를 더 이상 지자체 간 눈치보기로 미룰 수 없다. 국정 과제로 취수원 이전을 명확히 반영하고, 정부가 앞장서 재정 지원과 행정 조정을 해야 한다. 물 문제는 특정 지역의 편익을 넘어 국민의 기본권 문제이며, 특히 폭염·가뭄에 취약한 대구의 현실을 감안할 때 우선 과제로 다뤄져야 한다.대구시 역시 명분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수질 안정성, 사업 실현 가능성, 재정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민에게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안을 수용할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봉화 석포제련소 중금속 오염 등 상류 오염원 제거를 포함한 원천적 대책 없이는 어떤 취수안도 완전하지 않다.30년의 세월 동안 반복된 갈등과 미봉책의 악순환을 끊어야 할 때다. 물 문제 해결은 단순한 지방 이슈가 아니다. 정부는 모든 대안을 신속히 검토하고 조율해 실질적 해답을 도출해야 한다. 더 이상 대구시민이 불안한 식수 문제로 고통받지 않도록 정부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