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포항시 남구 동해면 4천400여명의 주민들은 동해면 화장장 설치 반대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공항소음및 고도제한으로 낙후된 곳에 화장장 설치는 결코 안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
|
|
|
|
↑↑ 포항시 동해면 화장장 설치반대대책위원회는 추모공원 건립 예정지가, 블루밸리 주거단지와 불과 900m 거리에 위치해 있어 ,주거환경이 크게 훼손될 우려가 있다며 극구 반대하고 있다.
|
|
[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공항 소음 및 고도제한으로 낙후된 포항시 남구 동해면에 추모공원 건립이 추진되고 있어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화장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질소산화물,다이옥신 등 환경 오염물질로 대기질이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날이 갈수록 반대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6일 동해면 화장장설치 반대대책위원회 발대식을 시작으로 17일 현재 화장장 건립 반대운동에 서명한 주민들이 4천400여명에 달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같은 추세라면 이번 주내에 화장장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5천명을 넘을 것으로 보여, 동해면 추모공원 건립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동해면 화장장설치 반대대책위원회는 “추모공원(화장장)이 들어서면 환경이 오염되고 혐오시설로 지역 이미지 훼손은 물론, 365일 운구차 곡소리로 마을 전체가 초상집이 될 것이다”며 “더구나 화장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1급 발암물질로 청정한 동해면 전역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추모공원 예정지 인근에는 블루밸리 국가산단 행복주택과 불과 900m 떨어져 있어 주거환경을 크게 해칠 수 있다. 반대편 산을 넘게되면 곧 바로 동해면 소재지로 이어지게 된다”며 “블루 밸리 국가 산단은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으로 에코프로가 2~3조원을 투자해 2천여명의 직원을 채용할 예정이다.근로자 수천명이 근무할 지역에 화장터 건립을 추진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이 되지 않는다”고 분개했다.
□공모 신청과정에서 주민동의 없는 졸속 추진신규 입지 후보지 공모 신청과정에서 주민의견은 뒷전인 채 졸속으로 추진됐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동해면 반대대책위는 “추모공원 건립을 찬성하는 주민들과 공무원의 설득과 회유로 공모 신청이 졸속으로 이뤄졌다”며 “주민동의 없는 유치 신청은 전면 무효다.”고 밝혔다.
앞서 올해 1월 북구 죽장면에 추모공원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주민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신청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유치 신청이 전격 철회된 사례가 있어, 동해면의 경우도 이같은 전철을 밟을 위기에 처했다.
당시 죽장면 일부 주민들은 “누가 어떤 목적으로 주민들의 안위를 좌우하는 일에 주민의견 수렴도 없이 일을 추진했는지 진실을 밝혀라. 포항시는 죽장면의 유치 신청서를 즉각 반려하라”고 촉구하자, 결국 사업이 철회됐다.
포항시는 “서울 추모공원의 화장로 배출가스 농도 기준을 보면 일산화탄소 50ppm이하,질소산화물 50ppm이하,황산화물 10ppm이하,다이옥신 0.01ppm이하로 법정 기준치 이하이다”며 “유해가스 촉매장치 및 여과집진기,다이옥신 촉매장치를 통해 오염물질을 최소화한다”고 말했다.
17일 포항시에 따르면 추모공원 부지에 신청서를 접수한 곳은 남구 구룡포, 연일, 동해, 장기(2곳) 마을과 북구 청하, 송라 등 7개 지역이다.
시는 접수된 신청지역에 대해 접근성, 주민 여건, 경제성, 토지 활용, 환경적 영향, 추진 의지, 법령저촉 등의 기준을 토대로 서면 및 현장심사, 입지 타당성 연구용역 후 추모공원건립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또한 7개 신청지역 대표와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신청지역 마을 자생단체장들의 선진지 견학을 통해 포항시가 추진하고 있는 추모공원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나갈 방침이다.
시가 추진중인 추모공원은 전체부지 80%는 공원화 사업을 통해 예술, 문화, 교육, 관광의 테마 힐링 공원으로 조성하고, 나머지 20%는 화장시설(8기)과 장례식장(빈소5), 봉안시설(2만기), 자연장지(6만기), 유택동산 1개소를 설치해 쾌적한 분위기의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