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가 산하 위원회의 대대적 정비로 시정혁신을 가속화한다.  대구시는 민선 8기 책임행정 강화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위원회와 기능 중복, 유명무실한 위원회의 통합ㆍ폐지를 과감히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시에 설치된 위원회는 총 199개로, 법령 등에서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한 100개를 제외한 99개 위원회 중 51개에 대해 우선 통합ㆍ폐지를 추진한다. 시 산하 각종 위원회 운영은 정책결정의 투명성ㆍ공정성을 제고하고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기 위해 도입했으나, 그동안 불필요한 위원회 설치, 회의 미개최 등으로 인한 정책의 신속한 의사결정 저해, 위원의 중복위촉 등 여러 문제점이 지적돼왔다. 이에 민선 8기 시정혁신과제 중 하나로 위원회 정비를 선정했으며, 시 산하 각종 위원회의 존치 필요성을 검토해 통합ㆍ폐지를 적극 추진한다. 구체적인 위원회 통합ㆍ폐지 정비기준은 위원회 회의 개최실적이 저조한 위원회, 위원회의 역할 종료 및 기능 약화ㆍ부서 자체 계획으로 위원회의 기능 대체, 목적ㆍ기능이 유사하거나 근거법령 또는 소관부서가 동일한 위원회다. 정비기준에 따라 51개 위원회가 우선 대상이며, 이중 25개는 법령이나 조례에 임의규정을 근거로 설치돼 내부방침 결정으로 즉시 정비가 가능하고, 26개는 조례에 강행규정을 근거로 설치돼 조례 개정 후 정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각종 위원회 운영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내실화를 기한다는 계획이다.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그동안 불필요한 위원회가 설치ㆍ운영돼 왔으며, 본래 설치 목적과 다르게 책임회피 수단으로 운영되기도 했다”면서 “위원회 정비를 통해 위원회 운영을 더욱 활성화하고 정책 추진 시 공청회나 정책토론회 개최, 온라인을 통한 의견수렴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정책 추진에 반영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대구시, 산하 위원회 대대적으로 손 본다..
뉴스

대구시, 산하 위원회 대대적으로 손 본다

김영식 기자 yskim684@ksmnews.co.kr 입력 2022/07/06 21:30
책임행정 강화ㆍ업무 효율성↑
99개 위원회 중 51개 통합ㆍ폐지
운영 비효율 개선…시정 혁신

대구시가 산하 위원회의 대대적 정비로 시정혁신을 가속화한다.       대구시 제공 

[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가 산하 위원회의 대대적 정비로 시정혁신을 가속화한다. 


대구시는 민선 8기 책임행정 강화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위원회와 기능 중복, 유명무실한 위원회의 통합ㆍ폐지를 과감히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시에 설치된 위원회는 총 199개로, 법령 등에서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한 100개를 제외한 99개 위원회 중 51개에 대해 우선 통합ㆍ폐지를 추진한다. 시 산하 각종 위원회 운영은 정책결정의 투명성ㆍ공정성을 제고하고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하기 위해 도입했으나, 그동안 불필요한 위원회 설치, 회의 미개최 등으로 인한 정책의 신속한 의사결정 저해, 위원의 중복위촉 등 여러 문제점이 지적돼왔다.

이에 민선 8기 시정혁신과제 중 하나로 위원회 정비를 선정했으며, 시 산하 각종 위원회의 존치 필요성을 검토해 통합ㆍ폐지를 적극 추진한다. 구체적인 위원회 통합ㆍ폐지 정비기준은 위원회 회의 개최실적이 저조한 위원회, 위원회의 역할 종료 및 기능 약화ㆍ부서 자체 계획으로 위원회의 기능 대체, 목적ㆍ기능이 유사하거나 근거법령 또는 소관부서가 동일한 위원회다.

정비기준에 따라 51개 위원회가 우선 대상이며, 이중 25개는 법령이나 조례에 임의규정을 근거로 설치돼 내부방침 결정으로 즉시 정비가 가능하고, 26개는 조례에 강행규정을 근거로 설치돼 조례 개정 후 정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각종 위원회 운영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내실화를 기한다는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그동안 불필요한 위원회가 설치ㆍ운영돼 왔으며, 본래 설치 목적과 다르게 책임회피 수단으로 운영되기도 했다”면서 “위원회 정비를 통해 위원회 운영을 더욱 활성화하고 정책 추진 시 공청회나 정책토론회 개최, 온라인을 통한 의견수렴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정책 추진에 반영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