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선택지 놓고 고심 중
연휴 전 ‘제3지대’ 만날 듯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자신의 '정치적 방향'을 곧 정할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반 전 총장은 입당, 창당, 연대 등 크게 3가지 선택지를 놓고 고민 중이다. 반 전 총장은 자신의 의중을 측근들에게도 내비치지 않은 채 ‘백지상태’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반 전 총장은 ‘정치적 행보에 대한 얘기도 이제 내부에서 논의할 때가 됐다’는 측근의 건의에 대해 “그래야 할 것 같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 전 총장은 어느 쪽을 선택하든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거취에 고심중인 것으로 분석된다.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은 반 전 총장에 대한 영입 의사가 있다. 바른정당은 대선후보 경선에서 책임당원 투표를 반영하지 않거나 비중을 확 낮추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무성·정병국·주호영 등 바른정당 중진 의원들은 반 전 총장 측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반 전 총장이 입당할 경우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 기존의 당내 대선 주자와 '평평한 운동장'에서 겨루도록 하겠다는 뜻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반 전 총장이 바른정당이나 국민의당에 입당하면 당내에서 기반을 잡는 게 쉽지 않고, 다른 정당과의 협력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반 전 총장측은 당을 만드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창당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창당할 경우 바른정당이나 국민의당보다 규모가 클 텐데, 굳이 더 작은 정당에 고개 숙이고 들어갈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반 전 총장 측은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과 함께 창당할 경우의 파괴력도 염두에 두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 전 총장이 먼저 만날 정치권 인사들이 이들 ‘제3지대’ 정치인들인 점도 반 전 총장의 향후 행보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는 추론도 나온다.
반 전 총장이 이들과 힘을 합쳐 창당하거나 정치적 연대를 형성해 제3지대의 구심점으로 자리를 잡으면 바른정당이나 국민의당과의 협상에서도 밀리지 않으리라는 관측에서다.
반 전 총장 측은 “우리가 바른정당에 먼저 입당을 타진했다느니, 입당을 타진하면서 ‘지분’을 요구했다느니 하는 식의 보도는 터무니없는 ‘소설’”이라고 일축했다.
반 전 총장은 이번 설 연휴 기간 고향에 머무를 계획이다. 따라서 제3지대 정치인들과의 만남은 연휴 직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 구체적 시점은 잡히지 않았지만, 관훈클럽 토론회가 예정된 오는 25일 전후가 거론된다.
관훈클럽 토론회나 언론 인터뷰 등을 계기로 반 전 총장은 다소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은 정책 비전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할 방침이다.
예비 캠프 구실을 해 온 '마포팀'도 대선 출마를 전후해 대대적으로 개편될 전망이다. 인력을 확대하고 인적 구성을 다양화하는 동시에 조직도 체계적으로 정비할 것으로 보인다. [경상매일신문=류길호기자]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