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미래 산업기반 창출을 위해 탄소산업, 차세대 기계부품산업, 백신산업, 항공 전자산업, 화장품산업, 바이오메디컬산업 등을 신성장산업의 핵심 사업으로 설정하고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이를 위해 지난 14일 영천시 녹전동 하이테크파크지구에 항공전자시험평가센터와 바이오메디컬 생산기술센터를 준공하기에 이르렀다.경북도는 정부의 국가전략프로젝트와 발맞춰 신산업 환경의 다변화에 대처하고 지역산업의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책사업 방향을 고려한 신규과제 발굴에 더욱 힘을 쏟기로 했다.이날 준공한 항공전자시험평가센터는 국내최초 항공전자부품 시험평가인증 전문기관이다. 세계적으로 항공전자부품의 시험평가인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관련 전문기관이 없어 국내 중?소 항공 기업에서 개발한 전자부품의 시험과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해외에 의존해 왔다.이러한 현실을 감안하고 경북도는 2013년부터 영천시에 연면적 3천358㎡ 규모의 항공전자시험평가센터 건립에 나섰으며 이날 준공과 함께 2018년 6월까지 시험장비 32종을 구축하기로 했다.경북도는 이날 바이오메디컬 생산기술센터도 동시에 준공했다. 센터는 2013년부터 31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부지 8천346㎡애 연면적 2천994㎡의 지하1층 지상3층 규모로 사출실, 압출실, 바이오실험실, 공동 실험실, 클린룸, 전자선 멸균시설 등을 갖추었다.이곳에선 인체에 삽입하는 튜브 카테터, 스텐드, 투관침 주시기류 등 비전자 의료기 산업을 선도하는 각종 시설개발을 지원한다.이로써 소모성 의료기기의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개인, 벤처형 기업이 시제품 제작에서부터 품질인증과 제품화지원, 더 나아가 마케팅까지 일괄 지원받게 되는 시스템이 구축됐다.특히 주목할 것은 전자의료기기 컨트롤타워인 구미 IT의료융합기술센터와 경산의 첨단 메디컬섬유센터, 영천의 바이오메디컬 생산기술센터를 연결하고 안동의 백신산업과 포항의 세계최고 수준인 광가속기 신약을 융합해 경북형 첨단 메디 벨트를 조성하기로 했다.이러하므로 향후 2022년까지 소모성 의료기기 분야에서 수입대체효과 250억 원과 고용창출 500명을 달성해 명실상부한 의료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가 크다.또한 경북도는 향후 항공기 인터리어와 항공기 복합재 부품수리, 무인항공기 등 항공분야 사업의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경북을 미래성장산업의 중심지로..
오피니언

경북을 미래성장산업의 중심지로

경상매일신문 기자 gsm333@hanmail.net 입력 2016/10/20 00:07

경북도는 미래 산업기반 창출을 위해 탄소산업, 차세대 기계부품산업, 백신산업, 항공 전자산업, 화장품산업, 바이오메디컬산업 등을 신성장산업의 핵심 사업으로 설정하고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4일 영천시 녹전동 하이테크파크지구에 항공전자시험평가센터와 바이오메디컬 생산기술센터를 준공하기에 이르렀다.
경북도는 정부의 국가전략프로젝트와 발맞춰 신산업 환경의 다변화에 대처하고 지역산업의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책사업 방향을 고려한 신규과제 발굴에 더욱 힘을 쏟기로 했다.
이날 준공한 항공전자시험평가센터는 국내최초 항공전자부품 시험평가인증 전문기관이다. 세계적으로 항공전자부품의 시험평가인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관련 전문기관이 없어 국내 중?소 항공 기업에서 개발한 전자부품의 시험과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해외에 의존해 왔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고 경북도는 2013년부터 영천시에 연면적 3천358㎡ 규모의 항공전자시험평가센터 건립에 나섰으며 이날 준공과 함께 2018년 6월까지 시험장비 32종을 구축하기로 했다.
경북도는 이날 바이오메디컬 생산기술센터도 동시에 준공했다. 센터는 2013년부터 31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부지 8천346㎡애 연면적 2천994㎡의 지하1층 지상3층 규모로 사출실, 압출실, 바이오실험실, 공동 실험실, 클린룸, 전자선 멸균시설 등을 갖추었다.
이곳에선 인체에 삽입하는 튜브 카테터, 스텐드, 투관침 주시기류 등 비전자 의료기 산업을 선도하는 각종 시설개발을 지원한다.
이로써 소모성 의료기기의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개인, 벤처형 기업이 시제품 제작에서부터 품질인증과 제품화지원, 더 나아가 마케팅까지 일괄 지원받게 되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특히 주목할 것은 전자의료기기 컨트롤타워인 구미 IT의료융합기술센터와 경산의 첨단 메디컬섬유센터, 영천의 바이오메디컬 생산기술센터를 연결하고 안동의 백신산업과 포항의 세계최고 수준인 광가속기 신약을 융합해 경북형 첨단 메디 벨트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러하므로 향후 2022년까지 소모성 의료기기 분야에서 수입대체효과 250억 원과 고용창출 500명을 달성해 명실상부한 의료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가 크다.
또한 경북도는 향후 항공기 인터리어와 항공기 복합재 부품수리, 무인항공기 등 항공분야 사업의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되고 있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