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지방경찰청에서 휴대용 조회기를 이용한 수배자 조회 건수가 28만여 건으로 집계됐다.수배자 조회는 범인 검거를 위한 것이지만 지나치게 많아 무분별한 조회가 실시됐다는 지적이다.‘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전국의 16개 지방경찰청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제출받은 ‘수배자 및 수배차량 조회’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도 내 수배자 조회 건수는 28만1천669건이다.지역별로는 문경이 3만4천13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포항(3만5천736건), 김천(3만383건), 구미(2만8천916건), 경산(2만2천762건), 경주(2만285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하지만 지난해 경북도 지명수배 건수는 수배자 조회 건수의 1%(2816.69)에도 못 미치는 763건이다.또 경북도 인구(지난해 12월 기준) 270만2천826명인 대비 수배자 조회율은 10.4%. 도민 10명 중 1명이 수배자 조회를 받은 셈이다.수배차량의 경우, 지난해 조회 건수는 30만5천894건이지만 정작 도난 신고 차량 건수는 229건에 불과하다. 이처럼 경찰의 수배자 및 수배차량 조회가 지나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인권 침해, 권력 남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시민 손모(27‧여)씨는 “수배자 검거를 위해서라지만 나도 모르는 새에 내가 잠재적 범죄자로 조회됐다고 생각하니 불쾌한 기분이 든다”며 “범인을 검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 정보가 악용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경북지방경찰청 관계자는 “휴대용 조회기는 오직 수배자 및 수배차량 여부 조회를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라며 “사용 후 반드시 검증을 받아 사적 이용 등을 가려내 처벌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경상매일신문=김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