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ICT, 多소비기업 대상
초기 투자비 부담 덜어 ‘인기’
포스코ICT(대표 최두환)는 에너지 다소비기업을 대상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구축과 전력수요(DR)관리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1일 밝혔다.
포스코ICT는 이달부터 국내 최대 합금철(페로망간(FeMn), 실리콘 망간(SiMn)) 생산기업인 동부메탈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착수했다.
합금철은 철강재의 강도, 인성 등에 영향을 주는 첨가제로 동부메탈의 주력제품이다. 동부메탈은 일반 합금철을 전기로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원가의 30% 이상을 전기요금이 차지할 정도로 에너지 소비가 많은 기업이다.
포스코ICT는 동부메탈에 대한 컨설팅을 통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설비를 공급하는 한편 에너지 흐름을 모니터링해 사용을 최적화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내년 하반기까지 1차로 추진되는 사업에 60여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는데 포스코ICT가 먼저 투자하고 절감되는 에너지 비용으로 투자비용을 상환받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동부메탈은 포스코ICT로부터 전력수요(DR)관리 서비스도 받을 예정이다. DR서비스는 전력 부족사태를 대비해 전력거래소가 전력 수요처에 감축요청을 하면 이에 응하기로 약정한 전력량에 따라 정산금을 돌려받는 서비스이다.
동부메탈의 경우 50㎿규모의 전력감축을 약정해 연간 20억 원의 정산금을 돌려받게 되는데 이때 얻은 수익금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사업의 재원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처럼 동부메탈은 포스코ICT가 제공하는 에너지효율화와 DR서비스를 함께 추진함으로써 신규 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에 들어가는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
자동차부품용 주물소재와 쇼트볼을 생산하는 기업인 성호금속도 포스코ICT로부터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받고 있다.
성호금속의 경우 에너지 효율화를 도입해 연간 5억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DR서비스를 통해 매년 4억원의 정산금을 돌려받게 된다.에너지 효율화를 도입하는데 필요한 투자금액 15억원도 이런 방식으로 충당된다.
최두환 사장은 “그동안 기업들이 에너지 효율화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사업추진이 더디게 진행된 면이 있었다” 면서 “DR과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초기 투자비에 대한 부담을 해소할 수 있어 관련 서비스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경상매일신문=강동진 기자]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