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소형모듈원자로(SMR) 특별법`을 두고 대전지역 탈핵단체 등이 반대 목소리를 내는 가운데, 학계에서는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한국원자력학회는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SMR 특별법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며 "환경단체 등의 반대 주장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이들은 "SMR 추진이 재생에너지 100%(RE100) 취지를 위배한다거나 기존 대형 원전보다 더 많은 핵폐기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거나 기술적 특성을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며 "진정한 탄소중립은 24시간 무탄소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탄소 100%(CF100)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이를 위해 원자력을 활용한 전기생산이 꼭 필요하다"고 꼬집었다.이어 "SMR은 수십 년간 전 세계적으로 검증된 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을 더 해 안정성은 획기적으로 높이고 경제성도 확보했다"며 "제3세대 원전보다 1000배 이상 안전 수준이 높고 장기적으로 뛰어난 경제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그러면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리 체계가 작동하기 시작했다"며 "기후위기 극복과 인공지능(AI) 시대 안정적 전력 공급이라는 국가과제 해결을 위해 SMR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한편, 앞서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탈핵공동행동은 성명을 내고 "위험하고 검증되지 않은 SMR 건설을 반대한다"며 황 의원을 향해 SMR 특별법 발의를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