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의 인구가 한 때는 5만 명이 넘어섰다. 그러나, 현재는 불과 4만5천여 명에 그치고 있다. 지금까지의 인구 늘리기 정책을 보면, 지방 공무원이라면, 당연히 주소지나 거주지를 성주군으로 옮겨야 한다면서, 인사운영에 불이익을 주었다. 이런 인구 늘리기가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게, 이제야 증명이 된 셈이다.
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이유가 대구, 구미 등 대도시와 가까워 출퇴근에 큰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더구나 위 같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 환경, 주거, 문화혜택 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공무원들의 말에 따르면, 인근 면의 지인이나 친척 등을 전입시키는 방법으로 인구 늘리기 정책을 펴, 행정력만 낭비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 강제는 아니지만, 하라고 하니 안 할 수도 없고 가슴만 답답하다고 인구 늘리기 정책을 비판했다. 이 같은 게 사실이라면, 성주군의 인구 늘리기 정책을 거꾸로 가고 있다고 할만하다. 성주군의 공무원들의 솔직한 고백이니, 이는 사실일 것이다. 이렇다면, 앞으로도 성주군의 인구 정책은 결코 성공할 수가 없다고 단정한다.
사람들이 모여 살기가 좋아야 자연스레 사람들이 모여 든다. 위와 같이 교육환경, 주거환경, 문화혜택 등에서 다른 지역보다 더 살기가 좋아야, 사람들을 부르는 요체이다. 이도 모르고서 엉뚱하게도 성주군 공무원들에게만 인사 불이익 등을 운운한다면, 될 일도 되지 않을 것이다.
각 지자체마다 보다 잘 사는 지역 만들기에 온 행정력을 다 쏟아붓고 있다. 또 기업 유치를 위해 기업하기 좋은 도시 만들기에도 행정력을 다한다.
이게 바로 성주군의 인구 유입책의 바른 길이다. 성주군은 이제부터라도 올바른 인구 늘리기 운동을 해야 한다. 이 운동의 지름길은 성주군의 생활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야 한다. 물론 기업하기 좋은 도시 만들기에도 새판을 짜야 한다. 성주군의 인구는 이럴 때에 늘어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