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를 위탁하는 워킹맘들이 아이의 건강을 가장 걱정하면서도 정작 보육 도우미의 건강상태는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락소 스미스클라인(이하 GSK)은 취업 포털 인크루트와 함께 만 5세 미만 자녀를 둔 20~30대 워킹맘 210명을 대상으로 아이의 보육과 건강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결과 70.4%(148명)가 육아를 위탁했을 때 가장 걱정되는 부분으로 `아이의 건강`을 꼽았다고 7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워킹맘의 50.4%(106명)가 아이를 보육기관이나 베이비시터에게 맡겼으며, 시어머니나 친정어머니가 육아를 대신하는 경우는 44.8%(94명)였다.
육아를 위탁하는 시간은 7~9시간 이상 78.1%(164명), 온종일 11.4%(24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눈길을 끄는 것은 워킹맘 대부분이 육아를 위탁한 후 가장 걱정스러운 대목으로 아이의 건강을 꼽았지만, 정작 감염원이 될 수도 있는 보육 도우미의 건강검진 결과 등을 확인한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9.0%(19명)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육아를 담당하는 성인의 건강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만큼 주의가 필요하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순천향대학교 가정의학과 유병욱 교수는 "백일해의 경우 아이와 가까이 접촉하는 성인에게서 쉽게 옮을 수 있어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75~85%에 달하는 전염병이지만 성인에게는 비전형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많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상당 수"라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백일해 같은 호흡기 전염병은 성인이 영·유아에게 옮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감염 경로를 차단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영·유아의 가족은 물론 베이비시터나 보육교사 등 영·유아와 가까이하는 사람의 예방접종에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