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그동안 도시민들의 귀농ㆍ귀촌 지원을 위해 귀농인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귀농ㆍ귀촌 정착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이 사업들 중에는 귀농인 인턴지원 사업, 귀농ㆍ귀촌 포럼 및 사업설명회도 열었다. 또 귀촌박람회 등 귀촌ㆍ귀농인 조기 정착을 위해 꾸준히 노력을 다해왔다. 그리고 올해에는 경북농민사관학교까지 설립하여 귀촌ㆍ귀농을 행정적으로 모든 노력을 다해왔다.
이런 귀촌ㆍ귀농 정책이 현실에 맞아떨어져 경북지역이 귀농ㆍ귀촌지의 최적지로 밝혀졌다. 경북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2009년~2011년까지 3년간 경북도내 귀농ㆍ귀촌 인구 현황은 3,985가구 9,094명으로, 전국 1만8,650가구의 21.4%를 차지했다. 이 같이 귀촌ㆍ귀농의 이유가 경북지역의 교통망이 수도권 및 대도시와의 접근성이 좋았다. 게다가 땅값이 보다 낮아 도시민들의 귀농ㆍ귀촌(이후 귀농) 희망 대상지로 가장 인기가 높았다. 여기에다 위에서 이미 밝힌 것과 같이 귀농정책이 맞물려, 경북지역이 성과를 거둔 것이다.
귀농 연령대로 보면, 50대가 1,484가구(37.2%), 40대가 1,069가구(26.8%), 60대가 688명(17.3%), 30대가 501가구(12.6%), 30대 미만 70대 이상은 243가구(6.1%)로 통계가 잡혔다. 우리가 이 통계에서 주목하고 싶은 것은 30대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당히 높다는 데에 있다. 보다 젊은 층의 귀농은 그만큼 우리 농촌이 젊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젊어질수록 우리의 농촌 실정도 희망이 보인다는 것을 웅변하는 일이다. 농촌 생활에 경험이 풍부한 노령인구와 젊은 층이 함께 생활하면서 우리의 먹을거리를 농사로써 실현하다는 의미는 남다르게 봐야 할 것이다. 이는 경북도가 귀농정책의 성과로 평가해야 한다.
시ㆍ군별 귀농 통계를 보면, 영주시가 497가구, 상주시가 395가구, 봉화군이 395가구, 영천시가 257가구, 청도군이 253가구, 의성군이 252가구로 들어났다. 귀농 후에 재배 작물을 보면, 영농기술이 어렵지 않고, 초기 투자비용이 낮고, 실패 확률이 보다 낮은 경종 분야가 39.2%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과수 28.4%, 원예 6.0%, 축산 4.2%, 기타 22.2%순이었다.
본지의 보도에 따르면, 단지 귀농ㆍ귀촌 인구 통계만 있다. 가파르고 숨찬 도시생활을 접고서 귀농한다고 해서, 이것으로 귀농이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귀농은 드라마에 있는 전원일기가 결코 아니다. 경북도가 도시인들을 부르는 귀농정책에는 비록 성공적이었다고 해도, ‘ 귀농성공’을 해야 한다. 이 대목에서 경북도가 귀농 성공 통계를 살펴볼 것을 권고한다. 귀농 성공/실패 통계에서 경북도가 앞으로 귀농정책을 어떻게 수정하거나 변화해야 할 모든 게 다 들어있다고 본다. 아니 할 말로, 귀농정책에서 성공했다고 해서, 이게 귀농 성공으로는 결코 이어지지 않는다. 이 가운데에는 다시 도시로 회귀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이게 귀농인구 통계보다 더 중요한 귀농 정책의 통계이다.
경북도 김관용 지사는 귀농인 조기정착에 맞는 상담ㆍ정보 제공, 보조금지원, 특성화된 기술교육지원,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융화될 수 있는 기회제공, 안정적인 정착과 농업 경영의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가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것이라는 취지의 말을 했다. 그러나 여기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귀농인들의 자구노력이 더 중요하다. 경북도의 귀농정책과 귀농인들의 자구노력이 한 바퀴로 돌아갈 때에, 귀농정책은 성공으로만 달린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