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가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충당하는 자립 섬으로 추진된다.
지난달 30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국내에서 전기 생산비용이 가장 비싼 울릉도에 신재생 에너지와 에너지 저장장치 중심의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울릉도 시범사업이 성공하면 국내 도서지역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 모델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한전은 앞으로 울릉도에 운영중인 디젤발전기(18.5㎿)와 수력발전기(0.7㎿)를 풍력(9.7㎿)ㆍ태양광(1㎿)·수력(1.5㎿)과 함께 30㎿급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축할 계획이다.
기존 디젤 발전기는 14㎿로 축소해 비상용으로 활용한다.
사업비는 총 1700억원 규모이다.
한전은 상반기에 세부 사업계획을 수립해 올해 구축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마이크로그리드는 기존 광역 전력시스템과 달리 분산 전원의 독립형 전력망으로 태양광ㆍ풍력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원 등이 융ㆍ복합된 차세대 전력 체계다.
이 때문에 국가 전력망이 닿지 않는 도서지역이나 오지ㆍ사막지역이 있는 여러 국가에서 마이크로그리드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국내 도서지역 중 가장 큰 전력 계통을 운영중인 울릉도는 발전단가가 높고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디젤발전기로 대부분의 전력을 생산해 섬 내 4,000여 가구에 전기를 공급해 왔다.
실제로 울릉도의 전력 생산에 따른 발전단가는 ㎾h당 550원으로 육지와 비교하면 5배 이상 비싸다.
한편 이번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사업을 바탕으로 발전단가는 20~30%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