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시 생활폐기물에너지화시설(SRF)운영업체가 적자 누적 등으로 경영난에 부딪치자 쓰레기 반입수수료를 인상하면서 시민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문제는 운영업체의 적자폭이 커지면서 경영난이 심화될 경우 자칫 SRF 시설 가동이 중단되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높고, 이를 방지하기위해 또다시 수수료(사용료)를 인상해야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이다.쓰레기 반입 수수료(SRF사용료)인상은 고스란히 시민 혈세로 충당해야 하기 때문이다.포항시에 따르면 6일 현재 SRF 운영사에 지급하는 사용료는 반입하는 쓰레기 톤당 5만2041원으로 나타났다.여기에 지금까지 산입되지 않았던 인건비 증가분과 베일운반비 등을 계산해 톤당 7200원을 사용료에 포함시켜 인상할 계획이다. 이는 포항시가 연간 10억원 상당의 사용료를 인상해 운영업체에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그만큼 시민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게다가 물가인상분 톤당 3000원까지 합하면 인상되는 사용료는 더욱 늘어나 톤당 1만원가량 사용료가 인상되게 된다.
결국 포항시가 업체에 지급해야 하는 사용료는 톤당 6만2100원으로, 이는 SRF를 처음 가동했던 지난 2019년 사용료 3만7359원과 대비하면 무려 66% 인상된 꼴이다.
문제는 또 있다SRF시설에 반입되는 가연성 쓰레기의 양이 부족해 열효율이 낮은데다 쓰레기의 성상이 달라 기계 고장등이 발생하면서 가동률이 저하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당초 SRF시설 건립당시 가연성쓰레기양을 포항시 1일 220톤, 영천시 50톤을 합쳐 전용보일러의 용량을 270톤으로 설계됐다.그러나 SRF시설 가동 6년째 접어들고 있지만 영천시 쓰레기는 아직 반입되고 있지 않아 쓰레기 부족사태는 지속되고 있다.부득이 모자라던 쓰레기는 호동2매립장에 매립된 쓰레기를 파내어 부족한 쓰레기를 충당하고 있지만, 오는 9월이면 이 사업이 종료되면서 조만간 가연성 쓰레기 부족사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또 다른 문제는 SRF시설의 가동률을 높이기 위해 기계 대수리를 하고 싶어도 반입 쓰레기 적재장소가 마땅치 않아 시설 정비작업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박칠용 포항시의원은 “SRF시설에 트러블이 발생하더라도 쓰레기 보관장소가 여의치 않아 대수리를 못하면서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고 있다. 결국 땜질식 수리에 그치면서 열효율이 떨어진 나머지, 전력생산이 감소돼 SRF운영사의 적자폭을 키우는 꼴이 된다”고 지적했다.이어 “이번 사용료 인상으로 연간 10억원 사용료를 포항시가 더 부담하는 셈이다. 하지만 적자누적으로 인한 더 이상의 경영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SRF 운영사인 포항이앤이의 근본적인 자구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포항시 관계자는 “베일운반비용 톤당 1800원,4조3교대에 따른 인건비 증가분 톤당 5200원,물가 인상분 톤당 3000원 등을 계산하면 사용료 인상분은 톤당 1만원에 달한다”며 “협약서상 쓰레기는 SRF 시설까지 운반해 반입해주는 조건으로 돼 있어, 베일 운반비를 사용료에 포함하게 됐다.”고 밝혔다.또한 “연간 45억~50억원 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적자운영이 지속되면 최악의 경우 SRF 운영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쓰레기 대란으로 운영 비용이 폭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인상분을 사용료에 반영했다.”고 덧붙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