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장녀인 캐롤라인 케네디 씨(55)가 미국의 차기 주일 대사로 내정된 사실이 전해지자 일본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다.
정치 명문가의 일원으로 지명도가 높은데다 2008년 대선 때 버락 오바마 당시 후보를 지지한 정권의 `공신`이라는 점을 들어 `미일동맹 중시를 보여주는 인선`이라는 평가가 있는 반면 공무원 경험이 없어 산적한 양국 현안을 풀 적임자로 보기 어렵다는 회의론도 존재한다.
14일자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한 정부 고위 당국자는 "오바마 정권이 미일관계를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인사"라며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한 정부 관계자는 "오바마 대통령과 가깝기 때문에 미일 관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그가 대통령과 소통할 수 있는 중량급 인사라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보도했다.
또 그가 최초의 여성 주일 미국대사가 된다는 점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을 성장전략의 하나로 삼고 있는 아베 정권으로서는 반길 일이라고 아사히는 분석했다.
그러나 아사히는 외교 전문가가 아닌데다 공무원 경험이 없는 케네디 씨가 중국과의 갈등, 북핵 문제, 오키나와(沖繩) 미군기지 이전 문제 등 쉽지 않은 현안들을 풀어갈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아사히는 또 미일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은 `논공행상`의 대표적 사례라는 등 미국 언론에 소개된 비판 내용을 전했다.
한편 와타나베 쓰네오(渡部恒雄) 도쿄재단 선임 연구원은 마이니치 신문에 "케네디는 자유주의자로, 인권을 중시한다"며 "대통령과 가까운 케네디 씨를 주일대사로 택한 것은 일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한편, 역사인식에서 아베 정권에 현명한 행동을 촉구하는 목적도 있지 않을까 싶다"고 분석했다.
1963년 케네디 전 대통령이 저격을 받아 사망했을 당시 5살이었던 케네디 씨는 컬럼비아대 로스쿨을 나온 변호사 출신이다. 하버드대 케네디행정대학원 자문위원, 존 F. 케네디 도서관장 등을 맡았고, 저술과 자선단체 활동 경험이 있다.
일본과는 1980년대 신혼여행 때 방문한 것 외에는 특별한 인연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