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축출로 내분을 겪는 이집트에서 미국이 `공공의 적` 신세가 됐다.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을 내쫓은 군부와 시민세력에 미국이 친화적 태도를 보였지만 정작 군부 측의 반응이 싸늘한 것이다. 무르시 지지파도 `미국이 우리를 배신했다`면서 이를 갈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입장만 난처해졌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이집트에서 미국에 대한 불만은 공통적인 화제"라는 10일자 기사에서 이런 상황을 전했다. 무르시 축출을 지지하는 시민 보리스 빅터(31)는 WP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오바마와 앤 패터슨(주이집트 미국대사)이 싫다"고 잘라 말했다. 카이로 타흐리르 광장에서 보리스 주변에 모인 다른 시민들도 그의 성토에 고개를 끄떡였다. 이들 위에는 `오바마는 테러리스트를 좋아한다`는 현수막이 펄럭였다. 테러리스트는 무르시의 핵심 지지세력인 무슬림형제단을 뜻하는 말이다. ◇ 反무르시파 "미국 여전히 못 믿겠다"= 왜 이런 상황이 벌어졌을까? 미국은 작년 이집트 혁명으로 무르시가 집권하자 `첫 민주화 정권`이라며 지지 정책을 폈다. 이 때문에 반무르시파에 미국은 그저 `못 믿을 상대`다. 오바마 행정부가 군부개입에 대해 비판을 피하고 원조를 계속하지만 불신은 여전하다. 패터슨 대사는 반미감정의 핵심 표적이다. 무르시 실각 며칠 전에 시민봉기가 극에 달하자 이를 `부질없는 행동`이라고 맹비난했기 때문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정권축출 뒤에도 패터슨 대사를 유임시키기로 해 반발이 더 커졌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10일 언론 브리핑에서 패터슨 대사가 미국의 대(對)이집트 정책을 효과적으로 옹호한다며 호평했다. ◇ 무르시파 `부글부글`…"쿠데타 인정하라"= 무르시 지지파는 이번 사태가 민주정부를 전복한 쿠데타라면서 국외 여론전에 나섰지만 미국의 반응에 크게 실망한 상태다. 백악관이 쿠데타 판단 여부에 대해 `사안이 복잡하다`며 결정을 잇달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법에서는 쿠데타 발생국에 대한 원조가 금지대상이다. 이집트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군사·경제 원조는 연간 15억 달러 규모로 이가 끊기면 새 정부에 큰 타격이 된다. 미국 국방부는 이집트군에 F-16 등 첨단무기 지원도 계속한다고 AP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수주 내에 F-16 4대를 넘길 예정이고 올해 내에 8대를 추가 지원한다. ◇양 진영, 나란히 반미감정 악용도= 이런 상황에서 무르시 반대파와 지지파 모두 반미 감정을 정치적으로 악용한다는 분석도 있다. 카이로의 알아즈하르대 강사인 이드 이스마일은 "군부는 미국이 무르시를 지지한다는 말을 퍼뜨린다"고 지적했다. 무르시 반대층을 집결하는 데 반미가 요긴한 명분이라는 것이다. 무르시 복권을 촉구하는 시민들도 군부 핵심 인사인 압델 파타 엘시시 국방장관을 흠집 내려고 `시시는 미국의 첩자`라는 구호를 외친다. 이집트는 중동에서 미국의 핵심 동맹국으로 꼽히지만 전통적으로 미국에 대한 앙심이 컸다고 WP는 설명했다. 자국 영토인 시나이반도를 줄곧 침탈한 이스라엘의 후견국이라 아예 신뢰할 수 없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다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