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후 무장 계엄군이 국회보다 이른 시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를 점거, 약 3시간 20분간 체류한 것으로 드러났다. 계엄군이 국회 진입보다 1시간 빨리 중앙선관위 관련 기관들에 투입된 것을 볼 때 선관위 접수가 근본 목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보수우파 국민이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부정선거 문제’와 ‘여론조작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이란 추측도 나온다. 여론조작과 부정선거는 국운을 결정할 중대사나 중앙선과위가 성역인 양 조직적으로 반발, 지금껏 단 한 번도 제대로 된 수사·감사·조사가 이뤄진 바 없다. 따라서 명확한 국민 의사(투표 결과)를 선관위의 선의에만 맡길 수 없다는 것이, 이번 비상계엄 선포의 근본 취지일 수도 있다. 국가 안위 및 국민 생명 보호 책임을 맡은 대통령이 왜곡된 국민 의사가 국정에 반영되는 것을 알고도 묵인하는 것 또한 국가원수로서의 직무유기죄에 해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연 비상계엄 사태 긴급현안질의에 출석해 "(비상계엄군이) 총 3시간 20여 분 동안 점거했다"고 말했다.김 사무총장은 "12월 3일 22시 24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며 22시 33분 계엄군 10여 명이 중앙선관위 청사 내에 투입됐다"며 "23시 09분부터 23시 25분 사이 경찰 4명이 도착했고 정문에 배치됐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23시 계엄사령관 비상계엄 포고문이 발령됐다. 23시 58분 경찰 90여 명으로 추산되는 병력이 청사 밖 버스 차량에서 대기했다"며 "12월 4일 0시 34분부터 01시 32분경까지 계엄군 100여 명이 추가로 청사에 투입됐다"고 설명했다.김 사무총장은 "(4일) 01시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됐고, 04시 30분 계엄 해제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가운데 계엄군은 01시 50분 완전 철수했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최초 투입된 계엄군 10여 명은 중앙선관위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핸드폰을 압수하고 행동감시 및 청사 출입 통제를 실시했다"며 "추가 투입된 100여 명은 1층 로비 등에서 경계작전만 실시했다"고 말했다.김 사무총장은 "12월 3일 화요일 23시 30분 중앙위원회 시설과장 등 3명이 청사 밖에 도착해 상황을 파악했고 12월 4일 시설과장 등 2명이 청사 내로 진입하여 상황을 파악했다"고 말했다.이어 "당시 출입 통제한 출입을 허가받은 이유는 국가지도통신망 수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당시 확인한 바에 의하면 행정부로부터 통보된 사항은 없었다"고 말했다.이어 "(4일) 01시 50분쯤 계엄군이 완전 철수해 피해 상황 등을 파악한 바 피해 상황은 없었다"며 "09시 30분 중앙위원회 간부회의가 소집되어 대책회의를 실시했다"고 말했다.김 사무총장은 선관위에 계엄군이 배치된 이유를 묻는 야당 의원 말에 "저도 그 부분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며 "계엄령이 선포된다고 해서 선거관리 업무가 이관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