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면서 슬픈 일은 아파도 병원 못가는 것과 먹을 것이 없어 굶는 일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이 각자 알아서 해야 할 일이나 극복 한도를 초과할 땐 국가가 적극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 인간 생명과 직결된 일이기 때문이다. 최근 의료계 파업의 장기화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감은 적지 않다. ‘병원 치료를 받지 못할까’하는 두려움이다. 게다가 ‘휴일 및 야간’에 환자가 생길 때면 ‘응급실 뺑뺑이’ 사태가 벌어지지 않을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생사의 갈림길에 놓인 경우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으로는 각 병원의 병상 현황, 의료진 가용성, 응급실 상황 등의 자료가 실시간 공유되지 못한 데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려면 병상과 의료진 현황 자료 등의 병원 정보를 실시간 관리할 수 있는 응급의료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정부와 국회가 협력해 법적·윤리적 제도 정비에 나서고, 지자체는 병원과 119가 적극 협력할 수 있도록 제반 사항 마련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전국 410개 응급의료기관 중 24시간 소아진료가 가능한 곳은 35개(8.5%)에 불과하다. 문제는 이들 중 28개가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해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이다. 지방 소재 영·유아 환자들이 골든타임을 놓치기 쉽고 응급실 뺑뺑이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가운데 서울시는 25일 응급실 이용이 어려운 경증환자를 위해 365일 오전 9시~밤 12시까지 진료하는 ‘서울형 긴급치료센터’(2곳)를 전국 최초로 도입할 것과 특정질환에 대한 응급환자를 365일 24시간 진료하는 ‘서울형질환별 전담병원’ 4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긴급치료센터’는 외상환자로 시작해 안과·산부인과 등 응급실 진료가 어려운 질환들로 확대돼 나갈 것으로 보인다. 서울이 지방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의료 수혜 지역임을 보여주는 정보다.   같은 나라에 살며 의료 혜택 차별은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그렇다고 국민 모두가 의료 혜택이 우수한 서울과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고 국가 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수요에 따라 공급이 결정되는 만큼 시골 지역에 상급종합병원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일 순 있다. 그러나 국민이 어디에 살든 응급상황 발생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국가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응급시설을 갖추기 어렵다면 닥터헬기 등 긴급후송체계를 더욱 확대 및 강화시켜 병원 이송 지연으로 인한 사망이라도 줄여야 한다. 살아가는 지역에 따라 사람의 생명 가치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