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남북당국회담 하루 전인 11일 차분하고 신중한 분위기 속에서 회담에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에서는 이날 회담과 관련한 회의 등 공식 일정은 없었다. 그러나 6년만에 열리는 고위급 회담을 하루 앞두고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들뜨지 않도록 외교 안보 관련 정부 부처를 컨트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관계자는 "청와대는 회담 준비에 직접적으로 나서기보다는 조용하고 냉철하게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며 "회담과 관련한 모든 사안은 통일부가 처리하는 기조"라고 말했다. 청와대가 이처럼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번 회담이 갖는 중요성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회담이 수년간 경색돼온 남북관계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데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북정책 핵심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첫발을 내딛는 계기인 만큼 조심스럽게 접근한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특히 떠들썩한 분위기 속에서 회담을 진행했다가 성과물은 없이 모처럼 찾아온 대화의 모멘텀을 상실하는 등 오히려 역효과가 날 가능성을 경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청와대는 국가안보실과 외교안보수석실을 중심으로 회담 주무부처인 통일부와 긴밀히 연락하며 개성공단이나 금강산관광, 이산가족상봉, 비핵화 문제 등 각종 회담 의제와 관련해 물밑 조율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 9일 실무접촉에서 회담 수석대표의 `격(格)`을 놓고 양측이 이견을 보인 만큼 이날 판문점 연락관 접촉을 통해 접수할 북한 대표단 명단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북한의 대남총책인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보다 급이 낮은 인사가 수석대표가 될 경우 우리 측 수석대표도 류길재 통일부 장관보다 급을 내리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청와대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당국자 회담에서 중요한 것은 서로 존중할 수 있는 격, 그런 격들로부터 신뢰가 싹트지 않겠나"라며 "그 부분에 있어서는 정말 국제 스탠더드가 적용돼야 하지 않는가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