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상조의 정신으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협동조합 모델이 정치 분야에서 `변형된` 형태로 시험대에 오른다.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지난달 중순 서울시로부터 협동조합 `울림`의 설립인가를 받았다.
윤 전 장관은 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울림`을 정치 소비자 협동조합이라고 규정하고, "정치에서는 생산자를 정당으로, 소비자를 국민으로 볼 수 있다"면서 "정치를 소비하는 국민이 생산자인 정당을 압박하는 활동을 하기 위한 협동조합"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일반적인 협동조합과 달리 시민의 정치적 주권을 찾아가기 위한 새로운 실험이 정치협동조합이라는 설명이다.
윤 전 장관은 "평범한 40대와 50대 초반 직장인이 주축으로, 전국적으로 조합원을 모집할 것"이라고 말했다. 1만원을 내면 울림의 조합원 자격이 주어진다.
협동조합의 활동 방향에 대해 윤 전 장관은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한 활동계획을 구상 중"이라며 한국정치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아카데미 운영과 정치적 담론을 만드는 캠페인 등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정치인이 한 약속이 이행되는지도 추적할 것"이라며 "특정진영의 논리에 빠지지 않고 합리와 균형을 추구하는 조합"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