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수련병원들이 진통 끝에 전공의들의 사직 처리에 들어가면서 1만여명에 달하는 전공의들이 결국 병원을 떠나게 됐다. 정부는 사직 처리에 따라 부족해진 전공의 인원을 병원들로부터 제출받아 이달 22일부터 시작되는 하반기(9월) 전공의 모집 일정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정부가 하반기 모집을 통해 복귀할 수 있도록 전공의들을 설득한다는 방침이지만, 전공의 대표는 병원장들을 대상으로 법적 대응을 예고하며 평행선을 걷고 있다.18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수련병원들은 전날까지 미복귀 전공의 사직 처리를 마치고, 결원 규모를 확정해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제출했다.전공의들이 사직 또는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는 가운데 병원들은 이들 `무응답` 전공의들을 사직 처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전공의 중 인턴을 제외한 레지던트 사직률은 이들의 복귀·사직 의사를 마지막으로 확인했던 지난 15일을 기점으로 급증하고 있다.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6일 기준 전국 수련병원 211곳의 레지던트 사직률은 12.4%(1만506명 중 1천302명)다. 16일 하루에 사직 처리된 레지던트만 1천216명 급증했다.같은 날 기준 서울 주요 5대 병원을 뜻하는 `빅5` 병원의 레지던트 사직률은 38.1%(1천922명 중 732명)로 더 높았다.병원들의 전공의 사직 처리에 관한 의사단체들의 반발은 여전히 거세다.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등 의대 교수들은 "각 병원이 사직서 처리와 수리 시점 등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게 아니라 소속 전공의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전공의들의 거취는 전공의 개인의 판단에 맡겨야 하고 사직을 희망할 경우 2월 29일로 처리해야 한다. 정부의 지시대로 6월 4일 이후 일괄 사직이 처리될 경우 다수의 교수가 사직하겠다 한다"는 내용의 서신을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에게 보냈다.전공의 대표는 병원장들을 상대로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전협 비대위는 퇴직금 지급 지연, 타 기관 취업 방해 등 전공의들의 노동권을 침해한 병원장에 대해 형사 고발, 민사 소송 등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며 사직한 전공의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의사단체들의 반발 속에서도 정부는 일정대로 하반기 모집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