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과 중국 간 무역 분쟁이 `휴전 모드`로 전환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26일(현지시간) EU와 중국 사이의 무역 분쟁을 대화를 통해 해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메르켈 총리는 총리 취임 이후 처음으로 독일을 찾은 리 총리와 만난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메르켈 총리는 "중국산 이동통신 제품과 태양광 패널 분쟁이 상호 관세부과로 끝나지 않도록 EU가 중국과 협상에 나서도록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리 총리도 "중국은 EU(반덤핑 관세 부과 등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중국은 EU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우호적인 해결책을 찾길 원한다"고 화답했다.
최근까지 EU와 중국은 `무역 전쟁`으로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을 띠었다.
EU는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이어 중국 이동통신 장비업체에 대한 반덤핑 및 반보조금 조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달 초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평균 47%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자고 회원국에 제안하면서 다음 달 5일까지 찬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중국 상무부는 EU와 일본, 미국의 무계목(seamless) 합금관과 합금튜브에 대해 앞으로 1년 동안 덤핑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반발했다.
무역 전쟁이 임박한 것 같던 양측이 대화로 급선회한 배경은 양국 간 무역 전쟁이 서로에게 모두 피해가 될 것이란 인식이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EU는 중국의 제1 무역 상대이며 중국은 EU에 미국 다음으로 교역량이 많은 무역 파트너다.
특히 독일은 EU 국가 중에서도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으로 작년 독일의 중국 수출액은 666억 유로(약 97조2천억원)에 달한다.
세계 두 번째 경제 대국인 중국도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독일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 무역 전쟁으로 확산할 때 유럽도 중국 측으로부터 무역 보복을 당할 위험이 있다는 것도 대화로 이끈 원인으로 꼽힌다.
리 총리는 이날 회견에서 태양광 패널 반덤핑 관세 부과 등에 반대의사를 밝히면서 "이러한 조치가 독일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EU 소비자와 산업 이익도 해칠 것"이라고 압박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