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과 중국 간 무역 분쟁이 `휴전 모드`로 전환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26일(현지시간) EU와 중국 사이의 무역 분쟁을 대화를 통해 해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메르켈 총리는 총리 취임 이후 처음으로 독일을 찾은 리 총리와 만난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메르켈 총리는 "중국산 이동통신 제품과 태양광 패널 분쟁이 상호 관세부과로 끝나지 않도록 EU가 중국과 협상에 나서도록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리 총리도 "중국은 EU(반덤핑 관세 부과 등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중국은 EU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우호적인 해결책을 찾길 원한다"고 화답했다. 최근까지 EU와 중국은 `무역 전쟁`으로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을 띠었다. EU는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이어 중국 이동통신 장비업체에 대한 반덤핑 및 반보조금 조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달 초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평균 47%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자고 회원국에 제안하면서 다음 달 5일까지 찬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중국 상무부는 EU와 일본, 미국의 무계목(seamless) 합금관과 합금튜브에 대해 앞으로 1년 동안 덤핑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반발했다. 무역 전쟁이 임박한 것 같던 양측이 대화로 급선회한 배경은 양국 간 무역 전쟁이 서로에게 모두 피해가 될 것이란 인식이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EU는 중국의 제1 무역 상대이며 중국은 EU에 미국 다음으로 교역량이 많은 무역 파트너다. 특히 독일은 EU 국가 중에서도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으로 작년 독일의 중국 수출액은 666억 유로(약 97조2천억원)에 달한다. 세계 두 번째 경제 대국인 중국도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독일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 무역 전쟁으로 확산할 때 유럽도 중국 측으로부터 무역 보복을 당할 위험이 있다는 것도 대화로 이끈 원인으로 꼽힌다. 리 총리는 이날 회견에서 태양광 패널 반덤핑 관세 부과 등에 반대의사를 밝히면서 "이러한 조치가 독일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EU 소비자와 산업 이익도 해칠 것"이라고 압박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