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지방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갈등현안에 대한 `해결사`를 자임하고 있다.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를 비롯해 진주의료원 폐업 논란, 울산 반구대 암각화 문제 등을 중앙당 차원의 과제로 끌어들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지역 현안은 지방정부와 주민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경우가 많아 정치권이 섣불리 개입하기 어렵지만, 당은 지역 문제로 도외시하기만은 어렵다는 판단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이 이처럼 해법 모색에 적극적인 것은 내년 6월 지방선거를 겨냥한 것 이라는 풀이도 나오고 있다.
지역 현안이 변수가 되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의 갈등이 사회적 쟁점으로 비화하는 것을 막고, 나아가 당의 정책기능을 지방행정으로까지 확장시켜 안정감 있는 여당의 면모를 부각시키려는 취지라는 해석이다.
이런 현안에는 당 정책위가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국회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사안별로 물밑조율을 하는 접근이 이뤄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22일 국회에서 당정협의를 갖고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 문제를 테이블 위에 올렸다.
한전과 지역 주민의 충돌에서 경찰이 개입하고 부상자까지 발생하면서 `제2의 용산참사`로 비화할 가능성까지 제기되자 서둘러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의원들은 회의에서는 송전탑 주변의 피해 주민에 대한 안전과 더불어 충분한 수준의 보상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주의료원 폐업 논란에 대해서도 최근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의 주도로 당정협의가 열린 바 있다.
홍준표 경남지사가 진주의료원 경영부실의 책임을 `강성노조` 탓으로 돌리면서 폐업을 결정하고, 이에 `공공의료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이 야권에서 거세지자 중앙당이 해법찾기에 나선 것이다.
경기 평택지역 현안인 쌍용차지부의 장기 고공농성이 지난 9일 해제된 데에도 새누리당 원내지도부 차원의 물밑조율이 적지 않았다는 전언이다.
황우여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울산의 현안인 반구대 암각화 문제의 해결을 고심하고 있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수많은 지역현안 중에서도 사회적 함의가 있는 사안에 대해선 당이 나서야 한다"면서 "밀양송전탑, 진주의료원 문제 모두 전국적으로도 시사점이 있는 사안이고 반구대 암각화 문제도 문화계 현안"이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