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요소수 대란이 이제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중국발 자원전쟁의 영향이 이차전지 등 국내 산업 전방위로 불똥이 튀었다. 중국은 앞으로 자국 내 경제 사정에 따라 언제든지 다른 산업에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중국 관세청의 요소 수출중단 사태가 이제 그 시작일 뿐이다. 현재 중국 경제는 심각하다. 부동산 경기 여파로 지난 11월 신용불량자 수는 코로나 이후 가장 많은 845만 명으로 불어났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통계에 잡히지 않은 중국의 숨겨진 부채가 최대 1경4000조원을 상회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세계적 투자자들은 중국 주식의 폭락이 심화하고, 폭락 기간도 장기적이라고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내년 대졸자는 1170만 명으로 올해보다 21만 명 늘어나면서 사상 초유의 실업난까지 예상되고 있다. 이 때문에 4연임 도전을 준비 중인 시진핑 정부는 자국 경제 우선 정책 노선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이 공언한 `중국식 현대화`의 핵심인 공동부유(共同富裕)를 이루려면 자국민 의견이 우선시될 수밖에 없다. 같은 맥락에서 중국식 현대화의 걸림돌이 된다면 망간, 코발트 같은 이차전지 소재의 수출 금지도 시간문제다. 현재 우리나라의 이차전지 소재 대중국 의존도는 망간 95%, 코발트 73%, 리튬 67% 등으로 절대적이다. 하지만 망간 생산 최대 국가는 인도네시아와 호주이고 코발트는 콩고, 니켈은 인도네시아다. 중국은 최대 생산국은 아니지만 저가이면서 안정적 수급이란 장점이 탁월해 우리가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중 갈등을 비롯해 상황은 급변했다. 게다가 2022년부터 대중국 교역이 적자로 돌아선 만큼 이제 중국 의존도를 줄여나가는 일이 급선무다.한국은 수출 확대만이 살길이지만 가장 기초가 되는 소재 즉, 자원의 원활한 수급없이는 생산 그 자체를 할 수 없다. 우리나라 산업에서 중국 의존도는 불가피하다. 그런 환경에서 당장 대중국 교역을 중단하는 것은 어렵다. 장기적 시간을 갖고 세계 각국과 다양한 자원외교전을 펼쳐야 한다. 중국을 대체할 시장으로는 중남미, 동남아 등 자원이 풍부한 국가와 외교를 강화해야 한다. 지금과 같은 대중국 의존도는 한국경제가 한 순간에 무너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이번 요소 수출 중단사태는 시작에 불과하다. 중국은 한국경제에 취약한 자원전쟁을 언제든 벌일 수 있다. 자원이 없는 나라의 설움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앉아서 당할 순 없다. 지금부터라도 다양한 자원외교를 시작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