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총선에 경북의 2개 선거구가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칼자루를 쥐고 있는 여야가 빨리 최종 결정을 내려 한다. 선거구 획정이 늦으면 늦을수록 신인보다는 현역 의원이 유리하다는 것은 온 국민이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현역 의원에게 기득권을 주려고 이렇게 늑장을 부리고 있나. 선거구가 조정되는 경북 2개 선거구의 출마 후보자나 주민들은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 간다. 이번에 조정되는 경북의 2개 선거구는 현 영주·영양·봉화·울진군 선거구와 군위·의성·청송·영덕군 선거구다. 영주·영양·봉화·울진군 선거구는 울진이 빠져나와 영주·영양·봉화군으로 조정되고, 군위·의성·청송·영덕군 선거구는 의성·청송·영덕·울진군으로 새로 조정될 전망이다. 군위군이 지난 7월 1일자로 대구시 군위군으로 편입된데 따른 조치다. 문제는 새로 조정되는 지역구의 급변하는 선거판 구도다. 이 때문에 현역 의원과 내년 총선에 출마할 후보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진다. 특히 기존 영주·영양·봉화·울진 선거구에서 빠져나와 의성·청송·영덕 선거구에 편입되는 울진의 경우 비교적 유권자가 많다보니 이곳 출신 후보자들은 벌써부터 유불리를 따지고 있다. 최다 인구수 지역 출신 후보자가 그만큼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선거구 조정이 빨리 결정돼야 한다. 늦게 결정되면 4년 전 졸속 선거구 획정에 따른 공천 번복사태도 다시 재연될 가능성도 농후하다. 그럴 경우 신인보다는 현역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또 선거구가 최종 어떻게 조정되느냐도 변수다. 해당지역 현역 의원과 신인의 유불리에 따른 셈법도 복잡해진다. 선거구획정안 초안은 여야가 테이블에 앉기 전 나온 밑그림일 뿐이다. 여야는 앞으로 정치개혁특위에서 협상을 통해 지역구를 쪼개거나 붙이게 된다. 하지만 168석의 거대 야당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 의견을 순순히 수용할리는 만무하다. 어떤 방식으로든 트집을 잡을 게 뻔하다. 여야는 당리당략을 접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안을 놓고 당장 머리부터 맞대야 한다. 그동안 선거구획정이 늦어진 것은 한두 번이 아니다. 21대 총선 때도 선거 40일 전에서야 마무리됐다. 19대 총선은 44일, 20대 총선은 42일을 앞두고서 이뤄졌다. 선거구획정이 늦어지면 오는 12일부터 등록이 시작되는 예비 출마자들은 자신의 선거구도 모른채 ‘깜깜이’ 선거운동을 해야 한다. 그에 비해 현역의원은 답답할 게 없다. 정치 선진화를 위해서는 선거구획정 결론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