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대구는 사람이 떠나고, 경북은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은 자연감소 때문에 인구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인구감소지역 인구 현황과 이동 분석 자료에 따르면 대구의 인구감소지역 주민등록인구는 30만1000명으로 2012년(38만9000명) 대비 22.5% 감소했다.10년간(2013~2022년) 감소한 인구(8만8000명) 중 순유출이 7만5000명으로 86.1%를 차지한 반면 자연감소(1만1000명)는 12.6%에 그쳤다.정부는 2021년 10월 전국 89개 시·군·구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했다. 대구는 서구와 남구, 경북은 안동시·영주시·상주시·문경시·의성군·청송군·영양군·봉화군·영덕군·울진군·울릉군·영천군·군위군·청도군·고령군·성주군이 포함됐다.지난해 대구 인구감소지역의 전출자 수는 2만8013명으로 전입자 수(2만4804명)보다 3209명 많았다.순유출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 1052명, 30대 898명, 20대 569명 순이다.지역별 순유출은 대구 내에서가 1367명으로 가장 많고 수도권 1219명, 기타(충청권·호남권·강원·제주) 327명, 영남권 296명으로 집계됐다.순유출 사유는 주택(30.7%), 직업(27.6%), 가족(23.6%)이 꼽혔다.이런 현상이 지속할 경우 대구 인구감소지역의 2040년 추계인구는 2022년 대비 24.1% 줄어 전국 감소율(2.8%)보다 21.3%p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