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 여야간 볼썽사나운 풍경이 연일 벌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요구로 지난달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소추안이 보고돼 지난 1일 강행 처리를 앞두게 되자 국민의힘이 본회의장 로비에서 연좌농성에 들어갔다. 여야가 본회의나 상임위원회에서 피켓 시위나 고성을 지르지 않겠다는 신사협정을 맺은 게 엊그제다. 잉크 물이 마르기도 전에 이같은 피케팅·고성이 난무하고 있다. 국민 눈에는 이제 식상할 뿐이다. 예산국회에서 때아닌 탄핵안 처리로 대치가 빚어진 건 민주당의 잘못이 크다. 당초 지난달 30일과 1일 본회의는 내년도 예산안 법정 처리시한(2일)을 앞두고 소집됐다. 그런데 민주당이 느닷없이 이동관 위원장 탄핵안을 들고 나오자 국힘의 반발하고 나온 것이다. 여야간 탄핵안을 둘러싼 대치 때문에 민생 예산안 심사가 뒷전으로 밀리면서 올해에도 법정시한을 맞추기가 사실상 어려워졌다. 게다가 민주당 독주에 반발해 여당 소속 법사위원장이 법사위 회의마저 열지 않아 다른 상임위에서 올라온 민생법안들이 잔뜩 쌓여 있다. 탄핵안 처리가 뭐가 그리 급하다고 예산안과 민생법안을 희생양 삼으면서까지 국회를 공전시킨다는 게 말이되는 소리인가. 민주당에겐 국민을 위하는 민생정치는 이제 사라졌다. 오로지 자신들의 이익과 밥그릇을 위한 정쟁(政爭)만 일삼고 있다. 이런 민주당의 행태는 이제 국민들에게 식상하게 보일뿐이다. 이런 민심이 내년 총선에 그대로 이어질 것이다. 대치 정국을 막지 못한 국회의장단과 여야 원내대표단의 정치력도 비난받아야 한다. 누가 보더라도 지금은 예산안 처리가 가장 시급한 일이다. 그렇다면 민주당의 탄핵안 처리를 늦추거나, 그게 안 되면 최소한 예산안과 탄핵안을 같이 통과시킬 방안을 모색했어야 했다. 하지만 예산안 법정시한도 넘기게 됐고 여야 간 대치만 더 격해진 최악의 상황이 빚어졌다. 여야 협상 과정에서 돌파구를 찾기는커녕 한 치 양보도 없이 마이웨이 행보만 보인 양당 원내대표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킨 셈이다. 이번 사태에서 보듯 여야가 예산안과 민생법안 처리를 하지 않고 서로 정쟁만 일삼는다면 더 이상 국민들은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이 민생보다 더 급한 일인가, 민주당에 묻고 싶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