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산이 ‘오일머니’를 앞세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밀려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에 분루를 삼켰다. 부산은 지난 28일 새벽(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진행된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의 엑스포 개최 도시 결정 1차 투표에서 사우디 리야드에 큰 표차로 밀리며 2위를 차지했다. 리야드에 비해 늦게 유치 경쟁에 뛰어들며 민관이 함께 총력전을 펼쳤으나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석유 부국이 퍼부은 오일머니의 벽을 끝내 넘지 못했다. 당초 부산은 유치전 초반 약체로 분류됐지만 막판까지 최선을 다해 한국의 저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7월 부산 엑스포유치위원회 출범 이후 우리 정부와 기업으로 구성된 유치위는 ‘원팀 코리아’ 정신으로 182개 BIE 회원국과 접촉했다. 이번 유치전에는 SK와 삼성·현대차·LG·롯데 등의 기업인들이 175개국, 3000여 명의 정상·장관 등 고위급 인사를 만나면서 저인망식 강행군을 펼쳤다. 윤석열 대통령도 세계 96개국의 정상 110명과 회담을 갖고 지지를 요청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이 똘똘 뭉쳐 최선을 다했는데도 엑스포 유치가 불발된 것은 아쉽지만 그렇다고 크게 낙담할 필요도 없다. 왜냐하면 최선을 다했기에 그 결과에 만족하는 것이다. 이번 엑스포 유치전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네트워크는 소중한 자산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28일 국무회의에서 엑스포 유치 노력을 설명하며 “국제사회에서 더 많은 친구를 얻게 됐고 전 세계는 대한민국의 역동성과 잠재력이 많이 인상적이라는 얘기를 하고 있다”고 했다. 영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한국이 글로벌 경제 패권 전쟁에서 살아남으려면 경제 영토를 넓혀 수출을 확대하고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길 뿐이다. 이번 유치전에서 쌓은 네트워크는 글로벌 시장에 한국 제품을 알리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부산 엑스포 실패는 또 다른 도전이다. 우리는 3번의 시도 끝에 2018년 평창올림픽을 유치해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이를 국가 발전의 동력으로 삼았던 경험을 갖고 있다. 평창올림픽은 29조 원의 경제적 효과도 거뒀다. 부산이 이번 유치전에서 비록 실패했지만 얻은 것도 많다. 국제사회에서 세계적인 미래·문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이번 실패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하고 그 출발선이 돼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