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과 지역의 국가불균형은 총체적 현상이자 풀기 어려운 난제다.역대 정권이 국가 균형발전을 추구해 왔지만 갈수록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구나 산업의 집중은 물론 사회문화 전반이 서울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국토 면적의 11.8%인 수도권에 88.2%의 소득과 일자리, 그리고 인구의 절반이 집중돼 있다. 이에 반해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25%, 59곳이 소멸 위기에 처해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런 수도권 집중, 국가불균형의 대표적 사례 가운데 하나가 시급한 ‘의료불균형’이다. 경북도와 전남도는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의료 취약지다. 인구 1천명당 의사 수가 각각 1.4명과 1.7명으로 전국 평균 2.1명을 헐씬 밑돌고 있다. 특히 뇌졸중 등 중증응급 분야 전문의 수도 평균 미만이다. 그래서 10만명당 치료 가능한 환자 사망률은 경북 46.98명, 전남 47.46명으로 전국 평균 43.8명을 훨씬 웃돈다. 또한 두 지역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곳으로 전국에서 노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다. 특히 의료서비스 수요가 많은 65세 이상 노인인구도 가장 많다. 또 지역 특성상 도서, 산간지역이 많아 의료서비스도 극히 취약하다.   이들 지역은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제때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억울함을 그동안 줄곧 호소해 왔다.그러나 정부 차원이나 정치권에서 그 어떤 해법도 내놓지 못하고 별로 관심이 없는 것 같다.   21대 국회에 국립의대 설립을 위한 법안들이 무더기로 발의 됐지만 단 한 건도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잠자고 있다. 내년 총선까지 남은 국회 임기를 생각하면 모두가 폐기처리 될 운명에 처해있다.   이철우 경북지사와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10월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최대 의료취약지인 경북과 전남에 국립의대 설립을 위한 ‘대정부 공동건의문’을 발표했다.두 도지사는 공동건의문에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생명권과 건강권은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될 헌법상의 권리이며, 이는 ‘보건의료기본법’ 제10조에도 분명히 명시돼 있다”고 전제했다. 도지사들은 이어서 “경북도와 전남도 450만 도민은 오랜 세월 이런 기본 권리를 박탈당했다”면서 지역의 의료 환경 개선과 부족한 의료자원 확보를 위한 지역 국립 의과대학 설립에 정부와 국회가 나서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현재까지 경북과 전남 등 수도권에서 거리가 먼 지역은 기본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당연시 돼 왔다.특히 의료불균형은 단순 국가불균형 현상이 아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생명권과 건강권이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될 헌법상 권리의 차별인것이다.또 의료혜택 오지의 의료 불평등을 해소하는 일은 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을 살리는 일과도 바로 직결돼 있다. 이제 확실한 지방시대를 맞아 정부와 국회는 서로 머리를 맞대고 경북·전남 국립의대 숙원 해결 해법 모색에 하루빨리 적극적으로 나서주기를 우리모두는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