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 17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 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대구경북(TK)신공항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추진을 심의·의결했다. 지난 4월 TK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된 이후 8월엔 시행령과 시행규칙까지 제정·공포됐고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도 이달 말쯤 기획재정부 재정평가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될 것으로 보여 TK신공항은 사업 추진에 속도감이 붙고 있다. TK신공항을 만드는 사전 법적 준비 조치는 사실상 마무리됐고 신공항 건설 계획 수립 및 집행 단계로 접어들게 됐다. 신공항 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기구인 국토교통부 TK신공항추진단도 지난달 공식 출범, 신공항 사업과 관련한 전 과정을 이끌게 됐는데 예타 면제가 확정된 만큼 사업 적정성 검토를 거쳐 기본 계획 수립에 곧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TK신공항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갈 특수목적법인(SPC) 설립이 이제 최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구시는 SPC 구성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지만 SPC 주축이 될 것으로 기대했던 국내 최대 개발 공기업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소극적인 태도가 다소 마음에 걸린다. SPC는 관련 법 규정에 따라 공공기관 출자 지분이 전체의 절반 이상이 돼야 하는데 주축이 될 LH가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면서 다른 공공기관들도 망설이게 하고 있다. 신공항 특별법은 TK신공항의 건설 목적을 국토 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함이라고 명시해 놨다. 그런데 LH가 주판알만 튕기는 행태를 보이는 것은 국가가 자본금 전액을 출자한 법정 공기업 LH의 설립 근거를 정면으로 위배하는 것이다. LH가 어물쩡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 경북도와 대구시의 속이 타들어 가고 있다. 급기야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18일 LH를 배제시키고 추진하겠다고 강경책을 내놨다. 가뜩이나 갈길이 바쁜데 LH마저 이런 태도를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한준 LH 사장은 "지역 균형발전 사업 추진을 통해 지방 소멸을 막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더해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열겠다"는 CEO 다짐까지 LH 홈페이지에 올려놓고 있다. LH는 말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약속을 지키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 강대식 의원(대구 동구을)도 지난 16일 국감을 통해 “참여할 의사가 있느냐, 대구시를 희망고문하나, LH의 의사가 어떤 것인지 답해달라”며 LH의 결단을 촉구했다. TK 미래 100년이 걸린 신공항 사업에 LH가 적극 협조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