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창립 55년만에 일부 공장을 세우는 파업 위기로 치닫고 있다. 포스코 노사는 올들어 24차례나 임금 및 단체 협상을 벌였으나 타협점을 찾지 못하면서 노조가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노조의 요구가 다소 과하다는 게 외부의 시각이다. 협상과정에 조합원들의 임금이 바닥 수준이라고 주장하며 사측에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목표달성 성과급 200% 신설 등 23건을 요구했다. 과연 노조의 주장처럼 직원들의 임금이 바닥수준일까. 사측은 노조 요구안을 모두 수용할 경우 1인당 9500만원의 추가 임금을 줘야한다. 이는 포스코 연간 인건비 총액의 70%를 넘는 금액이고 추가로 1조6000억원이 더 투입해야 한다. 노조는 1인당 1억800만원을 평균 연봉에서 1000만원 이상의 연봉 인상을 요구하는 것인데 이런 황당한 계산법을 이해할 사람이 과연 몇명이나 될까.
근로조건에 관한 쟁의 행위는 법이 부여한 노동자의 엄연한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포스코 노조의 단체행위는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는 데다 올해 요구하는 금액이 터무니 없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단적인 예로 60만원 수준의 포스코홀딩스 주식 100주를 지급해달라는 요구는 무리다. 최정우 회장을 비롯해 주요 임원진이 올해 스톡 그랜트로 100억원 규모의 주식을 받은 만큼 직원들에게도 자사주 100주를 지급해야 한다는 논리다. 물론 임원진의 스톡 그랜트로 주식을 챙긴 부분에 대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노조원 1인당 6000만원 주식을 요구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노조의 주식 요구는 명분이 없어 보인다.일반 회사의 근로자들은 노사 협상을 통해 연간 100만원의 연봉 인상도 쉽지 않다. 국세청 기준으로 지난 2021년 근로자 평균 연봉은 4024만원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평균 연봉이 1억2100만원인 포스코 노조의 요구는 다른 근로자의 상대적 박탈감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때문에 일각에선 노조가 파업을 볼모로 터무니 없는 연봉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만약 포스코 노조가 파업에 들어간다면 여론의 뭇매를 맞게될 게 뻔하다. 일반 근로자보다 6000만~8000만원을 더 받는 ‘귀족노조’라는 오명도 받게될 것이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노사 양측이 한발씩 양보해 대타협점을 찾아 주기 바란다. 포스코 협력사들도 “파업만큼은 절대 안된다”고 절박한 호소를 하고 있는만큼 노조는 하루빨리 파업수순을 접고 현장으로 복귀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