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엘라 당국이 자국 내 높은 외환 수요량을 충당하기 위해 새로 도입한 외환경매제도(SICAD)가 사실상 환율인상 효과를 가져왔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27일(현지시간) 첫 외환 경매를 실시, 민간 기업 383곳에 정부의 외화보유액 2억 달러(약 2천231억원)를 매각했다.
이 제도는 `CADIVI`로 알려진 정부 고시 환율에 따라 외환이 거래되는 기존 통화 정책과 별도로 도입된 것이다.
당국은 암달러시장이 활개치는 상황에서 외환 경매제가 외환 거래의 투명성을 보장해 주고 개인이나 민간기업의 외환 거래를 쉽게 해 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정작 첫 경매가 시행되고 나서 정부가 경매 당시 환율 등을 공개하지 않으면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환 경매제가 사실상 `은근슬쩍 실시된 평가절하 조치`(veiled devaluation)라고 입을 모았다.
지난달 베네수엘라가 정부 고시 환율을 달러당 6.3 볼리바르로 32% 평가절하한 점을 고려하면 결과적으로 50일 만에 또다시 평가절하 조치가 단행된 셈이다.
실제 이번 외환 경매에서 거래 환율은 고시 환율보다 훨씬 높은 달러당 12 볼리바르 수준에서 거래됐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경제학자인 호세 게하는 "정부가 외환 경매 결과를 발표하지 않은 것도 새로운 평가절하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게하는 그러나 "새로 도입된 외환 경매제가 베네수엘라 내 외환 수요를 충족시키진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카라카스 상공회의소의 빅토르 말도나도 소장은 "외환을 사들인 기업들이 매입 비용과 상품 가격을 조정함에 따라 물가 상승이 초래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