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은 5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2월 임시국회 처리가 사실상 물 건너간 가운데 강경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우리의 선택지를 없애버렸다"면서 격앙된 반응을 이어갔다. 그러면서도 당 지도부는 국정파행의 장기화로 인해 고조되는 비판 여론이 부담스러운 만큼 묘수 찾기에 고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내에서 강경파는 IPTV(인터넷TV)와 SO(종합유선방송)의 인·허가권을 마지노선으로 삼아야 한다며 지도부를 더욱 압박하는 반면, 일각에서는 비판 여론을 의식해 양보론을 조심스럽게 만지작거리는 분위기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으름장식, 밀어붙이기식 담화는 70년대식 개발 독재사회(에 있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우원식 원내수석부대표는 "우리는 유정회 국회의원이 아니다"면서 "야당에 양보하라는 것은 방송 인·허가권 및 법령 제·개정권이라는 목줄과 방송광고라는 밥줄로, 이렇게 되면 방송장악으로 가게 돼 언론의 자유를 해친다"고 강조했다. 민병두 전략기획본부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대통령이 대선 시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보다 육영수 여사의 얼굴로 나타났는데 청와대에 들어가니, 육 여사의 얼굴은 사라지고 박 전 대통령의 민낯만 남았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이날 SO 인·허가권을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하는 대신 `방송중립`을 추진하는 내용의 특별법 제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우 원내수석은 전화통화에서 "전날 민주당이 SO 인·허가권을 방통위에 남겨두고 미래창조과학부의 산업진흥 기능을 위해 방송 부문에서 필요한 사항을 특별입법하자고 제안했는데 이를 반대로 역제안한 셈"이라며 "택도 없는 소리"라고 잘라말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개편안 제출 초반 당 입장이 불명확해 여론 설득에 나서지 못했다는 비판과 함께 채널편성권의 정치적 독립성과 `제2세대 종합편성채널`을 막기 위해 SO와 IPTV 모두 절대 내줘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강경파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사실상 디지털 케이블 시대에 SO와 IPTV가 사업자만 다를 뿐 서비스가 사실상 같은 상황에서 이들 플랫폼을 분리해 협상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모순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원내지도부가 SO의 인·허가권은 방송통신위원회에 남기되 IPTV 인·허가권을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하는 방향으로 여당과 협상을 진행해온 점을 비판한 것이다. 그동안 민주당은 IPTV 인·허가권이 독임제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로 넘어갈 경우 IPTV 사업자, 즉 통신사업자가 IPTV 내에서 막강한 자본력과 로비력을 배경으로 사실상 `제2세대 종편`을 만드는 길을 열어주는 셈이라고 주장해왔다. 더구나 IPTV와 SO의 진흥과 규제 중심이던 방송·통신 융합이 스마트폰 혁명 이후 스마트TV에 대한 진흥과 규제 문제로 관심의 초점이 옮겨가는데, 민주당이 이에 대한 논리를 제대로 펼치지 못해 협상이 불리하게 전개됐다는 비판도 나온다. 최민희 의원은 "ICT 분야의 관심은 이미 스마트TV로 움직였다"면서 "스마트TV에서 제3세대 종편이 등장하는 마냐를 놓고 논란이 벌어질 시점에 IPTV와 SO를 놓고 해묵은 방통융합 논의를 벌이는 게 납득이 안 간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의 정상적인 출범이 계속 지연되면서 더 이상 `국정 발목잡기`라는 인상을 줘서는 안 된다는 온건한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초선의원은 "지금 시점에서 강경 대응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민주당이 양보하는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