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사회학자 데이비드 필립스(David P. Phillips)는 1970년 「사회적 행위로써의 죽음이라는 박사학위 논문을 출판했다. 논문에 따르면, 1947~1968년의 기간에 미국에서 발생한 자살 통계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자살이 신문의 전면 기사로 다루어진 후엔 2개월 이내에 평균 58명의 자살 사건이 다른 때보다 증가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자살 건수의 증가는 특히 미디어가 요란하게 다루었던 지역에 국한됐다. 그 이전에 비해, 이후에 각종 사고(비행기 사고, 자동차 사고 등)가 급증했다. 이러한 사고에서 인명 치사율은 보통 때의 3~4배나 증가했다. 필립스는 이 가운데서 상당 부분서, 사고를 가장한 자살로 추정했다. 필립스는 이러한 모방 자살(copycat suicide)현상을 독일의 문호 괴테(Goethe, 1749~1832)가 1774년에 편 소설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에서 주인공 베르테르가 연인 로테에게 실연당한 뒤, 권총으로 자살하는 내용을 모방한 자살이 전 유럽으로 확산된 것에 비유해,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라고 이름 지었다. 당시 자살자들은 소설 속의 베르테르처럼 정장했다. 부츠, 파란 코트, 노란 조끼를 착용한 뒤 책상 앞에 앉아 권총 자살을 하는 등 베르테르의 모든 걸 흉내 냈다. 괴테는 독자들에게 제발 베르테르를 따르지 말라고 호소했으나 별 효과가 없었다. 이 책은 한동안 이탈리아, 독일, 덴마크 등에선 금서(禁書)가 됐다. 요 근래에 유명인사가 세상을 등진 사건이 부쩍 많았다. 세상을 등진 유명 인사를 다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도, 지난 14일 삶을 마감한 ‘배우·가수 설리’(25·본명 최진리)는 기억할 게다. 설리는 키(169.8cm)가 커서, 자이언트(Giant)가 아니다. 그녀의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는 공식 SNS를 통해, “눈부신 미소가 사랑스러웠던 소녀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아티스트로 성장했고, 이제 설리는 사랑해준 모든 이들의 마음속에 언제나 빛나는 별이 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공개했다. 그녀는 평소에 악성 댓글에 시달렸다. 이게 그녀를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고도 한다. ‘악플이 사(死)플’이 된 셈이다.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설리가 지난 14일 25세의 꽃다운 삶을 마감했다. 남성 악플에 시달려야 했던 가련한 삶. ‘에프엑스’의 음악을 좋아했다. ‘연예계’라는 잔인한 도시에서 더 이상은 숨을 쉴 수가 없어서 스스로 생을 멈추었다.” 설리가 스스로 극단적 선택의 원인으로 수년간 누리꾼들의 악플 등 사이버 불링(Cyberbullying)의 지목에 원인했기 때문이다. 사이버불링이란 SNS 등 인터넷 공간에서 특정인을 집단적으로 따돌린다. 또한 집요하게 괴롭히는 행위를 말한다. 설리는 2014년엔 악플로 활동을 한 차례 중단했다. 복귀한 이후에도 우울증을 앓아왔다고 유가족은 설명했다. 지난 18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사이버 명예훼손·모욕 사건은 1만5천926건이었다. 2017년 1만3천348건보다 약 19.3% 늘었다. 2010년대 초만 해도 한 해 평균 5천~6천 건에 그쳤다 하지만 2014년 8천880건에서 이듬해 1만5천43건으로 급증했다. 익명성의 뒤에 숨어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악플러를 제재하기 위해선, ‘인터넷 실명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가 지난 15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2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댓글 실명제 도입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찬성 응답이 69.5%로 집계됐다. 이젠 ‘단(斷)베르테르효과를 창출’해야겠다. 인터넷 실명제로 더 이상 이러한 불행을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