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 쓰레기 매립지로 사용됐던 대구 서구 평리6동 일대에 들어선 주택일부가 한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져 있다. 쓰레기 매립지로 사용됐던 곳에 집을 짓고 살아온 800여 가구 2000여 명의 주민들은 집이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두려움에 휩싸여 있다. 이 일대 주택에는 심하게 금이 가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등 지반 침하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 건물 전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자 지붕이 제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내려앉아 쇠파이프로 고정해 둔 집도 있었다. 이곳 평리6동 일대 33만여㎡는 1981~83년까지 쓰레기 매립지였던 이곳을 1989~91년도에 원래 밭이었던 지목이 대지로 바뀌었고 주거지역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된 지반 안정화 작업이 이뤄지지 않아 현재 그에 따른 각종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주민 이성태씨는 “이 일대는 오래전에 매립한 쓰레기가 2~3미터만 파면 지천으로 널려있다”며 “주택 균열과 침하 등이 걱정이라며 특히 쓰레기 매립으로 인해 악취는 물론 한 겨울에도 파리 모기로 이 지역 주민들은 피부병을 달고 산다”고 대책을 호소했다. 또 그는 “지난 14일 서울의 한 방송사에서 건축전문가들과 함께 이 지역 정 중간을 관통하는 서평리 지하차도 공사 현장에 포클레인을 대동해 몇 군데를 파헤쳤다”며 "3~4미터 땅속을 파자 악취와 함께 폐비닐과 등의 쓰레기가 곳곳에서 드러났다”며 오래된 과장봉지와 소주병을 펼쳐 보였다. 비대위 관계자는 “대구시와 서구청을 상대로 쓰레기 매립지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주거시설로 허가한 것과 관련해 주민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집단 소송을 추진하는 한편 주민 건강검진과 건축물 안전도 검사도 함께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지난20일 강성호 서구청장은 “대구시에 새동네를 재정비촉진지구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추가로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그는 “절차상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구청 차원에서 지원책을 제시하기에는 힘든 사항이라며 재정비 지역에 포함 시켜 달라”고 대구시에 건의 했다고 전했다. 대구시는 지난해11월 평리5ㆍ6동 일원 68만964㎡를 평리 재정비 지역으로 지정하고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이곳 새동네는 빠져 있었다. 내년 7월쯤 지구계획이 최종 결정 고시될 예정이며 지구지정에 대한 행정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서구청의 재정비지역 추가포함에 대해 난색을 표명했다. 김재호기자 kimjh@ksmnews.co.kr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