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상근직(full-time)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구매력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75%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평균 증가율이 1990년대 이후 갈수록 떨어지고 있어 OECD 내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기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OECD의 `고용전망 2011(Employment Outlook 2011)`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상근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구매력 기준)은 3만3천221달러였다.
이는 조사대상 28개국 중에서 19위에 그친 것으로, 회원국 평균(4만3천933달러)의 75.6%에 불과했다.
명목 임금은 2만6천538달러로 회원국 평균(4만8천488달러)의 54%, 순위로는 28개국 중 22위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국가회계상 총임금을 전체 근로자수로 나눈 뒤 전체 근로자의 근무시간 대비 상근직 근로자의 근무시간 비중을 곱하는 방식으로 국가별 상근직 평균임금을 구했다.
상근직 근로자 임금(구매력 기준)이 가장 높은 나라는 미국으로 5만2천607달러에 달했고 룩셈부르크가 5만2천110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스위스(4만9천810달러), 네덜란드(4만5천671달러), 노르웨이(4만4천164달러), 영국(4만4천8달러), 덴마크(4만3천190달러), 캐나다(4만1천961달러) 등도 상근 근로자 임금이 4만달러를 넘었다.
우리나라보다 근로자 임금이 낮은 곳은 그리스(2만7천484달러), 포르투갈(2만3천173달러), 체코(2만587달러), 슬로바키아(1만8천719달러), 폴란드(1만8천380달러), 에스토니아(1만7천145달러) 등 대부분 남유럽과 동유럽 국가들이었다.
OECD 내 선진국과의 임금 격차가 크지만 우리나라의 연평균 임금 증가율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어 그 격차를 줄이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명목임금 증가율은 1990∼1995년 4.7%로 회원국 평균(1.3%)의 3.6배에 달했다. 그리스(6.4%), 슬로바키아(6.4%), 체코(5.9%)만이 우리나라보다 높았다.
그러나 2000∼2005년에는 2.8%로 회원국 평균(0.8%)의 3.5배로 내려간 뒤 2005∼2010년에는 1.5%로 회원국 평균(0.7%)의 2.1배까지 떨어졌다.
특히 2005∼2010년에는 동유럽 국가는 물론 캐나다(2.1%), 핀란드(1.6%), 아일랜드(2.3%), 노르웨이(2.4%) 등 북미와 북유럽 선진국보다 임금증가율이 뒤져 이들 국가와 격차가 오히려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갈수록 낮아지면서 임금 상승 여력이 떨어진데다 2008년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다른 나라에 비해 물가가 급등하는 등 위기에 더 취약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