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국빈방문 중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일 미군기지 연설에서 동해를 `일본해(sea of japan)`로 공개적으로 표현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대변인을 통해 “동해 표기에 대한 우리정부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고 밝혔다.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요코스카에 있는 미 해군기지를 방문해 강습상륙함 ‘와스프’에서 미군을 상대로 동해를 일본해라고 표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에 따르면 독도가 일본해 안에 있게 돼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이 심히 우려된다.오는 31일은 1994년 유엔해양법협약 발효를 계기로 해양을 둘러 싼 분쟁을 막고 급격한 해양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바다의 날’이다. 정부는 제 24회 바다의 날을 기해 동해 수호 특별대책을 지시했다. 하지만 그간 외교부의 해양 정책과 일본의 망언에 따른 독도수호 대책과 노력은 공허한 메아리가 됐다.트럼프 대통령이 “요코스카의 미 해군은 황해, 일본해, 동중국해, 남중국해를 위풍당당하게 순찰하며 테러를 제압하고 끔찍한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도움을 준다”고 말한 것이 뉴스를 통해 나가자 시민들은 정부의 외교 무능이 소외를 자초했다고 비판했다.사태의 심각성에 파악한 외교부가 “동해 표기가 병기돼야 한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미국과 일본에 정식 반박은 하지 못한 채 속앓이를 하는 모습이다. 미·일 밀착 국면에서 볼 때 우리 외교력의 한계가 노출된 셈이다. 국민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러 동해를 일본해라고 표현했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일 간 민감한 사안 중 하나인 동해 표기 문제를 놓고 ‘일본해’로 언급한 것은 우리 외교의 현주소를 대변한 것이다.또, 이날 미국의 공식적인 입장이 동해와 일본해로 병기로 돼 있는지 확인됐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외교부는 “확인 후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결국 이러한 답변은 미국과의 외교조차도 명확함이 없는 ‘굴욕외교’였다는 것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일본행에서 해상자위함 호위대 가가에 탑재를 추진 중인 대당 1천100억 원짜리 스텔스 전투기 F35B를 105대나 구입한 일본에 인사를 잊지 않았다.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항공모함인 자위대 함정에 올라 동해를 일본해로 표현한 것은 군비 강화를 외치는 아베 총리의 손을 들어줘 서로 시간과 명분을 챙겼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이번 방일을 계기로 미·일 동맹이 한층 강화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동해를 일본해로 지칭했다. 분명한 것은 일본에 힘을 실어주는 트럼프의 행보에 우리 외교는 무엇을 했느냐는 것이다.동해에는 5천만 국민이 지키고자 했던 ‘독도’가 있다는 점에서 씁쓸함을 금치 못한다.  <취재국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