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월화드라마 ‘왕이 된 남자’(극본 김선덕·연출 김희원)에서는 임금 노릇을 하고 있는 광대 하선(여진구)과 유소운(이세영)이 나들이를 즐겼다는 저잣거리는 사람들이 사회를 이루고 물품거래(교역)를 위한 일정한 장소를 정했는데 그곳을 저잣거리라 불렀다. 그런 저잣거리가 요즘 재래시장이나 5일장으로 한자로는 시장(市場), 또는 장시(場市)라 부르기도 한다. 대도시는 저잣거리가 상설로 운영될 수 있었으나 중소도시나 시골은 여건상 일정한 날을 정했다. 이른바 장날이다. 우리나라는 보통 5일장을 채택했다. 인근의 고을들은 가급적 장날을 겹치지 않게 하여 장꾼들이나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했다. 그래서 같은 지역이라도 장소에 따라 장날이 다르고 거래되는 물품 또한 조금씩 다르다.과거 5일장은 가히 마을 축제였다. 장터에 용무가 없는 사람도 장날이면 나와 구경하고 지인을 만나 돼지고기 내장 안주를 곁들인 막걸리를 놓고 회포를 풀기도 했다. 그런데 시대가 변하면서 장터풍경도 사라져갔다. 포항시도 1970년대만 해도 9개 읍면에 시장을 열고 장옥(場屋)이 있었으나 차츰 사라지고 지금은 오천장과 구룡포, 기계 장날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5일장도 예전 같지 않다. 장구경이나 지인과의 만남 때문에 장터를 찾는 경우는 드물고 대형마트에 밀려 재래시장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 식품류와 값싼 생활용품을 구하려는 사람들이 찾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 사라져 가는 5일장과 재래시장의 체감경기를 두고 전체의 경제상황에 빗대지만 재래시장의 경기가 나빠지는 이유는 꼭 경제가 어려워져서 만이 아니다.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의 변화와 시대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재래시장이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라는 지적이 더 설득력이 있다. 그래서 포항시는 시장 현대화라는 이름으로 막대한 예산을 들여 죽도시장과 큰동해시장 등을 현대화 해 놓았지만 그렇다고 시장경기가 좋아졌다는 이야기는 들리지 않는다. 현대화로 환경은 좋아졌겠지만 취급하는 물건의 품질, 접근성의 불편, 정찰제의 미 시행, 카드미사용, 불친절 등 소비자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시장기능이 향상되지 않고 현대화만 해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시장 상인들과 주민, 관계기관이 만나 서로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하고 다른 지역의 성공과 실패사례도 충분히 검토해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 특히 접근성의 문제인데 주차장을 한곳에만 두면 이용객의 불편도 크다. 이를 해소하려면 규모가 작더라도 주차장을 여러 곳에 조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무엇보다도 친절이 우선되어야 하고 구입한 물품을 주차장까지 운반할 수 있는 수례가 있으면 장보기가 편리하다. 투자를 통해 현대화한다고 시장이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정말 시장기능을 십분 발휘할 재래시장의 변화를 기대한다.  <방영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