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뉴스와 가짜뉴스의  언론보도는 빛보다 멀리 가되, 가짜뉴스는 민심을 교란한다. 현사회는 거짓이 진실을 덮어버리고 압도하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사실이 사회적 맥락에 더해진 진실로 자연스레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다 .2016년 옥스퍼드 사전은세계의 단어로 탈진실(post-thuthy)를 선정해 탈진실이 국지적 현상이 아닌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거짓이 진실을 덮어버리는 가짜뉴스가 사회적 논란으로 떠올랐다.지난 2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낙연 총리가 악의적 의도로 가짜뉴스를 만든사람과 계획적 조직적으로 유포하는 사람을 의법처리해야된다면서 검찰과 경찰은 유관기관과 공동대응 태세를 구축해 신속히 수사하고 불법은 엄정히 처리하라고 지시했다. 언론권력의 힘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것은 왕조(王朝)권력에서 선거라는 제도를 통해 국민권력으로 넘어오는 과정에 민간인이 1896년 4월 7일에 창간하여 구독료와 광고료 수입으로 신문을 운영한 것은 〈독립신문〉이 한국 최초였다. 이때부터 왕조에서 민주국민이라는 개념이 싹을 틔웠다. 이게 언론의 밑거름이 되어, 2017년 4월 7일 신문의 날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신문협회에 따르면, 1961년 38개에서 55년 새 10배 늘어, 인터넷신문은 6천360개에 달했다. 국내 일간신문이 계속 늘어나면서 399개에 달했다. 언론의 많고 적음에 따라 정론보다는 그렇지가 않는 측면도 없지가 않는가한다. 이젠 언론의 신뢰도가 가짜 뉴스에 가린 것이 문젯거리다. 딱 집어 말하기엔 글의 취지가 아니기에, 구글이나 다음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가짜뉴스를 검색하면, 진짜인가, 또는 가짜인가를 누구나 판별할 수가 있을 것으로 여긴다. 지난 9월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위원회에 따르면 음란, 도박 방송으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징계를 받은 인터넷 개인방송이 올해 들어 8개월간 81건에 달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9월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지난달 전국 성인남녀 1,2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 34.0%가 유튜브로 가짜뉴스나 허위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 3월 조사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가짜뉴스를 접한 적 있다는 응답자가 전체 1,050명 중 69.2%에 달했다. 가짜뉴스라는 개념 정의부터 분명치 않다. 통상 학계와 언론계는 ‘거짓 정보’를 언론사 ‘기사 형식’을 빌어 유포하는 것을 가짜뉴스로 정의한다. 언론사가 생산하는 기사는 원칙적으로 가짜뉴스에 해당하지 않는다. 허위정보가 있으면 오보(誤報)다. 그런데 요즘은 일부 언론사 오보, 왜곡보도, ‘찌라시’, 루머 등까지 다양한 형태가 가짜뉴스로 통칭된다.  언론재단의 지난 3월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4.7%가 언론사의 오보를 가짜뉴스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정의야 어떠하던, 가짜뉴스는 있는 추세이다. 지난해 3월 언론진흥재단 세미나서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가 그 영향력을 키우면서 가짜뉴스를 걸러내기 위한 ‘팩트체킹’(fact-checking)의 중요성도 급부상한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오세욱 선임연구위원은 현 상황에서 기술을 활용해도 100% 완벽한 팩트체킹 시스템을 구현하기는 힘들다고 잘라 말한다.   카더라 방송과 아니면 말고도 가짜뉴스의 원조로 사회의 불신과 혼란을 야기하는 공동체 파괴범이다. 다른 계층이나 집단에 대한 증오를 야기해 사회통합을 흔든다. 진짜와 가짜의 감별법은 비판적인 지성인인 기자(記者)와 현명한 독자(讀者)의 몫이다. 알짜/진짜배기 뉴스는 미래지향적인 우리의 모습을 지금 그려내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