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화합을 자랑하던 포스코가 강성노조 출범 이후 노사갈등을 빚고 있어 우려스럽다.발단은 민노총 소속 노조원들이 추석연휴 기간에 포항 포스코인재창조원에 마련된 임시 사무실에 침입해 근무 중이던 직원들과 몸싸움을 벌이고 문서 일부와 직원 수첩을 들고 달아난 데서 됐다. 이들은 경찰에 붙잡혀 조사까지 받았다.노조 측에선 “회사가 노조 와해 문건을 작성했다”고 주장하고 사측은 “자신들의 범죄 행위는 감추고 부당노동행위를 하고 있는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하고 반박한다. 여기에 정의당 등 정치권까지 가세해 노사 갈등에 불을 붙이는 모양새다.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노조 활동은 적법하게 이뤄져야 한다. 노조원이 약자라고 하지만 무단 침입과 절도, 그 과정에서의 폭행 등이 빚어져서야 어떻게 원만한 노사관계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불법과 탈법 행위는 어떤 이유에서든 정당화 될 수 없다. 사법기관의 공정한 수사와 함께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과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지난 반세기 포스코는 노조 대신 노경협의회를 통해 노사화합을 이룩해 왔다. 포스코가 세계 최고의 철강기업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노동자들의 땀과 노력, 묵묵한 희생이 있기에 가능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쌓아온 탄탄한 노사 관계가 그 원동력이 됐다.이제 포스코의 복수노조 설립은 막을 수 없는 대세가 되었지만 ‘협력과 상생’이라는 노사관계의 대원칙은 훼손되어선 안 된다.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돈독한 노사관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다.포항시민들과 지역 사회단체는 노조가 설립된 포스코가 과연 변함없이 포항경제의 버팀목이 될지 노조가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건 아닌지 우려 속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과거 2006년 민노총 소속의 포항 건설노조는 일주일 넘게 포스코 본사를 무단 검거하고 폭력 사태를 벌여 지역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바 있다. 앞으로 노조가 순기능으로 작용하면 다행이지만 불법 파업과 집단 이기주의 행태를 되풀이 한다면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를 더욱 침체시킬 게 불을 보듯 뻔하다.결국 노사 문제는 해당 기업에서 풀어야할 숙제다. 당사자가 아닌 국회의원이 훔친 서류를 공개하는 등 정치권이 가세해 노사 갈등을 증폭시키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지금의 갈등은 포스코가 건전한 노사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진통 과정으로 본다. 이럴 때일수록 포스코 스스로가 이 문제를 슬기롭게 해쳐나갈 수 있도록 묵묵히 지켜봐주는 ‘따뜻한 무관심’이 더욱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