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국가백년대계’라고 했다. 이 말은 한 나라의 흥망성쇠가 교육에서 비롯된다는 것으로 그 무엇보다도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고언이라 하겠다.소규모학교의 통폐합은 국가백년대계를 위해 농어촌학교 학부모들의 의견을 수렴해 교육계는 물론 정부와 자치단체 등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교육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소규모학교 통폐합 관련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자료에 따른 ‘소규모학교 통폐합 권고기준’을 보면 전국의 1만1천809개 초중고 학교의 23%가 통폐합 대상이며 경북지역은 무려 444개 학교가 통폐합 대상이 된다.이는 경북지역 초중고 학교 1천1개교의 44.4%에 해당하는 것으로 면․도서벽지 지역 334개교, 읍 지역 66개교, 도시지역 44개교가 통폐합 대상학교라는 분석이다.저출산과 인구격감으로 농어촌지역 초·중·고 학교가 문을 닫는 현실은 학교 규모화를 통한 양질의 교육제공이라는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학교가 단순히 배움의 장소 이상으로 지역사회 구심점 역할을 해 오던 현실에서 주민들의 통폐합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는 실정이다.교육부는 학생수 감소와 소규모학교의 증가로 인해 구도심 및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의 교육여건이 악화되고 복식학급 운영과 순회교사 등의 배치로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곤란하다는 것이다.또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곤란과 학생들의 사회성발달 저해 등으로 인한 교육격차의 심화라는 문제점을 들어 도서벽지와 읍 지역, 도시지역의 기준에 따라 통폐합 범위를 더 넓히는 권고기준을 정해 발표한 것이다.교육부의 통폐합 권고기준을 보면 60명 이하의 학생수를 가진 면지역 초등학교, 읍 지역의 120명 이하 초등학교와 180명 이하의 중등학교, 도시지역의 240명 이하 초등학교와 300명 이하 중등학교가 통폐합 대상이다.통계적으로 볼 때 경북지역은 농어촌지역의 400개 학교가 그 대상이 되고 이는 농어촌지역 대부분의 학교가 통폐합 대상이라는 것이다.경북교육청은 1개면 1개 학교의 존립방침을 세우고 학교 통폐합에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지만 학생수 감소라는 대세를 부정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농어촌지역의 인구감소와 학생수 격감에 따른 소규모학교의 통폐합은 시급한 실정임은 사실이다.농어촌지역 학부모들은 가르치는 교사의 사기진작과 배우는 학생들의 경쟁심 유발, 학교의 경쟁력 제고, 국가예산의 낭비를 막는 등 다방면에서 소규모학교의 통폐합은 필요하다는 여론이다.그러나 학교의 규모화를 통한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한다는 통폐합 목적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의 구심점을 잃는다는 아쉬움 때문에 주민들과 동창회의 적극적인 반대에 부딪치고 있다.또한 일부지역에서는 사학재단과의 합의가 쉽지 않아 통폐합은 차질을 빚기도 하며 학생수 기준에만 맞춘 획일적인 소규모학교 통폐합 추진은 자칫 농어촌지역의 교육 황폐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이제 교육부는 소규모학교의 통폐합을 실적위주가 아닌 정말 학생들을 위하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위한 통폐합이 될 수 있도록 추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교육관계자는 학생수가 기준 이하인 학교를 운영할 경우 학생 1인당 연간 교육비가 1억 원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국가예산의 낭비를 줄이면서 지역교육을 살리는 노력이 병행될 때 학부모들은 소규모학교의 통폐합에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임경성 북부취재본부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