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가 부활된 지 20년이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전국 광역,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빚이 100조원이 넘어섰다고 한다. 지방부채 47조에 숨은 빚 60조원을 합한 것이다. 부채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이고 덤으로 이자까지 추가되니 걱정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그 빚은 누가 갚아야 하나? 단체장이 갚는 것도 아니고 주민들은 대체로 그 실상조차 모른다. 지자체가 왜 이렇게 많은 빚을 졌을까?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주민들은 단체장들의 생색내기 행사에 소요된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했을 것이라고 믿고 있을 것이다. 선출직 단체장은 행정가라기보다는 정치인의 성격이 강하다. 직업정치인은 항상 실적주의에 매달린다. 주민들을 위한 지역축제라면서 연예인들을 불러들이고 대대적 치적홍보를 하면서 돈을 펑펑 쓴다. 가랑비에 옷 젖는 것도 모르고 빚 위에 빚으로 빚 덩이를 키우고 있는 것이다. 지방행정도 때로는 경영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방공기업은 대부분 많은 빚을 지고 있다. 경영은 투자와 효과가 대비되어야 하나 정치적 단체장은 그런 것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은 오로지 4년간의 치적 쌓기에 골몰한다. 그래야만 4년 후 주민들로부터 표 얻기가 쉬워질 것이고 퇴임 후에는 치적에 대한 흔적이 남기 때문이다. 행자부가 올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행사와 축제예산이 1조700억 원이라고 밝혔다. 주민들은 자기네가 살고 있는 자치단체의 빚이 얼마나 되는지도 모르고 자치단체도 부채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임기가 끝나면 그만이고 또 재선을 위해서는 빚진 것을 감출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정부재정과 지방재정은 엄격히 구분되고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자치단체가 진 빚은 자치단체가 갚는 것이 정상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지방자치단체는 자치권의 확대를 주장하면서 중앙정부에서 지방에 재정을 많이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국가의 빚이든 지방자치단체가 진 빚이든 궁극적으로는 국민들이 담당할 몫이다. 지방의 살림살이를 뜯어보면 법정경비가 대부분이고 단체장이 공약한 사업들을 추진할 재원이 별로 없다. 그런데도 단체장은 지방채 등을 발행해서라도 사업을 추진하려고 애쓴다. 선출직이기 때문이다. 빚도 나올 구석을 보고 얻어 써야 정상이지만 의욕에 찬 단체장은 일을 벌여놓고 책임은 대부분 지지 않는다. 자치단체장이 무모하게 많은 부채를 발생케 하였을 경우 단체장 개인이 부채에 대한 책임을 지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생각해 볼 일이다. 행정자치부는 지방자치단체들이 100조원이 넘는 엄청난 빚을 지고 있다는 것을 처음 확인했다는 말을 했다. 이런 것이 바로 지방자치제도의 큰 허점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를 보면 지방이 사업을 벌인다는 것이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2015년 1월 기준 전국 지자체 평균 재정자립도는 45.1%다. 재정자립도가 10%도 안 되는 지자체도 59곳이나 된다. 그런가 하면 자체수입으로 직원 인건비를 해결하지 못하는 자지단체도 74곳이나 된다. 정부는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탈루세원을 발굴하고 기업유치 등을 통해 세원확보를 하도록 독려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실질적 대책은 미미한 형편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스스로 빚을 줄여나가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단체장이 부득이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경우는 지역민들의 동의를 구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제 지방자치단체 파산제를 도입 시행할 필요가 있다. 선진국에서는 일찍부터 이 제도를 채택하여 빚이 많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경종을 주고 있다. 자치단체의 부채를 걱정하는 알뜰한 단체장을 보고 싶다. 주민들 스스로도 남의 일처럼 방관해서는 안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