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관리위원회 산하 독립기구인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4월 13일 치러질 총선 의석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해야 하는 법정시한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획정위는 지난 2일 전체회의를 열었지만 최종합의에 실패해 법정시한 내 회정안을 제출하기까지에 빨간불이 켜졌다. 의원들은 지역구의석을 현행대로 246석으로 한다는 원칙에는 합의했지만 2석을 영남과 호남에 줄일지 영남과 강원에 줄일지를 놓고 논쟁을 거듭하다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일이 이렇게 된 데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책임이 크다. 여야는 의원정수를 300명으로 고정한다는 데만 잠정 동의했을 뿐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수 등 기초적인 기준조차 합의를 보지 못했다. 추선연휴 중 부산에서 전격 회동한 김무성, 문재인 대표도 마찬가지였다. 마감이 코앞으로 닥친 선거구획정은 제쳐놓고 자신들의 관심사인 공천제도만 잠정합의했다. 여야는 지역구의석을 246석에 정한다는 획정위 안에도 뒤늦게 난리법석을 떨고 있다. 획정위 안에 따르면 수도권 선거구는 10개가량 늘어나고 영남, 호남, 강원, 충청 등 지방은 그만큼 줄어든다. 이에 여당은 비례대표 수를 줄여 지방지역구를 지켜야 한다고 버티고 야당은 비례대표를 한 석도 줄일 수 없다고 제동을 걸고 있다. 선거구가 소멸될 농어촌 의원들은 최종안 발표를 연기하라며 획정위를 압박하고 있다. 법정시한을 무시하고 내 지역구는 무조건 살리겠다는 탈법적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자기네 할 일은 지지부진하면서 외부용역에는 넘보기까지 하면서 방해하는 꼴이다. 여야가 이렇게 시간 끌기로 일관하면서 합의를 하지 못하는 속셈은 뻔하다. 겉으로는 그럴싸하게 농어촌 대표성이나 소수자 배려 같은 구실을 앞세우지만 속으로는 내년 총선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으로만 몰고 가려는 정치적 계산 때문인 것이다. 여야는 이제라도 당리당략을 버리고 헌재 결정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이제 잔꾀는 국민들이 용서하지 않는다. 선거구간 형평성을 높이면서 농어촌 대표성 훼손을 줄일 묘안을 놓고 허심탄회하게 머리를 맞대 합의를 끌어내기 바란다. 그래야만 획정위도 법정 마감시한인 13일까지 최종 획정안을 정할 수 있다. 선거수재획정 때마다 여야는 선거가 코앞에 닥쳐서야 나눠 먹기식 졸속합의를 연출했다. 민주화 이후 여덟 번째다. 또 꼼수를 부려 내년 총선마저 과거사를 반복한다면 국민의 지탄을 받을 것이며 유권자들의 뭇매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